[이슈]비박의 반란 시작됐다?…與 '국감 참여' 투트랙 카드 만지작(종합)

與, 국감 참여 협상 개시…28일 기재위 재개는 무산비박 중심으로 국감 참여論 비등…국감 참여 초읽기중진회의·의원총회 등에선 강성 친박과 대립각 세워친박 "단일 대오로 뭉쳐야" 강요[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성기호 기자, 김보경 기자] "(여당도) 국정감사에 참여하는 게 맞다. 정세균 국회의장과 야당이 잘못했지만 '빨리 국감을 시작하자'는 당내 의견이 있었다."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

기획재정위원장인 새누리당 조경태 의원(가운데)이 28일 오전 국회 위원장실에서 여야 간사들과 국정감사 정상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새누리당 간사인 이현재 의원, 조 위원장,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박광온 의원, 국민의당 간사인 김성식 의원.

2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여당의 최고위원ㆍ중진의원 연석회의장을 나선 유 의원은 '거침없이' 소신을 피력했다. 유 의원은 "단식투쟁은 이정현 대표의 결단이니 계속 하더라도 다른 의원들은 (이제) 국감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전날 여당의) 김영우 국방위원장이 (양심에 따라) 국감 참여 의사를 밝힌 것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말했다.야당의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단독 처리와 여당의 국감 거부로 불거진 여야 대치 정국이 나흘 만에 전환점을 맞았다. 여야는 이날 오전부터 국회 기획재정위원장실에 모여 교섭단체 간 협의에 들어갔다. 기재위원장인 새누리당의 조경태 위원장을 비롯해 이현재 새누리당 간사,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간사, 김성식 국민의당 간사가 국감 정상화를 위한 공통분모 찾기에 나섰으나 합의를 끌어내지 못했다. 다만 강경 노선 일색이던 여당이 대화에 나선 것 자체가 의미 있다는 분석이다. 20대 국회 첫 국감 사흘째인 이날은 여당이 위원장을 맡은 기재위에서만 국감이 예정돼 있었다. 이는 여당이 거야(巨野)에 대한 투쟁을 이어가면서 국감에 참여하는 '투 트랙'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비판 여론에 등을 떠밀린 여당이 전격적으로 국감 참여로 선회하면 급랭된 정국도 다소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새벽 야당의 해임안 단독 처리 이후 여야는 협상의 여지가 없는 '강 대 강'의 대치 국면을 이어왔다.
달라진 여당의 속내는 이날 오전 연석회의에서도 감지됐다. 친박(친박근혜) 좌장인 최경환 의원과 비박(비박근혜) 대표주자인 김무성 전 대표를 비롯해 정진석ㆍ김광림ㆍ원유철ㆍ유승민 등 전ㆍ현직 지도부, 주호영ㆍ이주영ㆍ정병국ㆍ한선교 등 8ㆍ9 전당대회의 당권주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전대 이후 이들이 얼굴을 맞대고 토론을 벌인 건 이날이 처음이다. 회의 직후 민경욱 원내대변인은 "강력한 단일 대오를 형성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곳곳에선 균열이 감지된다. 수도권 출신의 비박 3선 의원인 김 국방위원장은 전날 의회 민주주의의 원칙과 개인적 소신에 따라 국방위 국감을 개회하겠다고 선언했다.하태경 의원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회주의를 지키자면서 국감을 거부하는 건 회사를 살리자면서 파업하는 것처럼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여권 잠룡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정국 운영도 중요하지만 국감은 그 자체가 갖는 의미가 있다"며 국감 참여론에 힘을 보탰다.
김 전 대표는 첫 긴급 의총에서 "여당이니 파업(보이콧)보다 원내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으나 친박 강경파에 밀려 의견 개진이 좌절됐다. 하지만 여권의 국감 보이콧이 전격적으로 풀릴지, 대야 투쟁 노선이 변화할지는 불투명하다. 여당은 이날 정 의장을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고 국회에서 사퇴 촉구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또 초ㆍ재선을 중심으로 한 친박 강경파의 목소리가 워낙 강하다.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우리도) 하루 앞을 볼 수 없다"면서 "대치 국면이 열흘 이상 이어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정치경제부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