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경제성장률 0.8%…국민소득 7분기만에 '마이너스'(종합)

속보치보다 성장률 0.1%p 상향 조정…GNI는 교역조건 악화·해외 배당금 증가 영향

광양항 자동차부두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대비 0.8% 성장했다. 속보치에 비해 0.1%포인트 증가했으며 최근 3분기 내 최고치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경기 부양 정책 효과가 사라질 것으로 보여 성장 부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실질 국민총소득(GNI)은 교역조건 악화로 0.4% 마이너스 성장하며 2014년 3분기 이후 1년 9개월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4~6월) 실질GDP는 375조3336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기대비 0.8% 증가했다. 이는 3분기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그동안 실질GDP는 1분기까지 하락세를 보여왔다. 지난해 3분기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으로 1.2%까지 늘었던 실질GDP는 지난해 4분기 0.7%, 올해 1분기 0.5%까지 떨어졌다.이번 잠정치는 지난 7월 발표된 속보치에 비해 0.1%포인트 올랐다.◇ 개소세 인하·임시공휴일…정책으로 경기 부양=한은은 건설투자와 민간소비가 예상보다 늘면서 속보치보다 실질GDP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건설투자는 2분기 3.1% 성장해 속보치보다 0.2%포인트 증가했다. 지난해 분양물량이 많아 주거용 건물건설이 늘어난 영향이다.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로 인해 승용차 등 내구재를 중심으로 늘면서 속보치에 비해 0.1%포인트 오른 1.0% 성장했다.수출과 수입 증가폭도 확대됐다. 수출은 반도체, 석유 및 화학제품 등이 늘어 1.1% 증가해 속보치(0.9%)보다 개선됐다. 수입도 속보치(1.9%)에 비해 0.2%포인트 오른 2.1%를 기록했다. 수출입이 동시에 늘면서 순수출 GDP 성장기여도는 속보치와 동일한 -0.3%포인트를 유지했다. 1분기 0.8%포인트에서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석탄 및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이 늘면서 전기대비 1.2% 증가했다. 속보치(1.3%)에 비해서는 0.1%포인트 낮아졌으나 2014년 1분기(1.8%)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속보치보다 0.5%포인트 오른 1.2% 증가했다. 2014년 8월 정부가 도입한 주택 담보대출 규제 완화가 이어지면서 주택 경기가 호조를 보인 영향이다. 서비스업은 5월 임시공휴일 효과로 도소매·음식숙박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나면서 0.6% 성장했다.◇실질GNI, 2010년 4분기 이후 최대폭 감소=실질 국민총소득(GNI)은 0.4% 감소했다. 이는 2010년 4분기(-1.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이며 이후 실질GNI의 마이너스 성장은 2014년 3분기(-0.2%) 뿐이었다.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의 소득을 합친 것이다. 실질 GNI는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무역손익까지 반영해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실질GNI 크게 줄어든 데는 국제유가를 비롯한 교역조건 악화와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이 줄면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김영태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은 "교역조건이 악화되면 우리가 해외로부터 물건을 사고 파는 과정에서 실질적인 대외구매력이 떨어지게 된다"며 "하지만 전년동기대비 실질GNI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전반적인 총소득은 견실한 수준이다"고 말했다. 2분기 실질GNI의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4.5%다.교역조건의 핵심요소인 국제유가는 1분기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30.8달러에서 2분기 43달러로 39.9% 올랐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의 배당금 지급 확대로 실질 기준 1분기 1조2000억원에서 2분기 4000억원으로 급감했다.GDP디플레이터는 전기에 비해 1.5% 상승했다. 2분기 국내총투자율은 전기대비 1.3%포인트 오른 28.7%를 기록했다. 지난 1분기 6년 9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던 국내총투자율이 소폭 오른 것이다. 총저축률은 전기대비 0.7%포인트 하락한 35.5%로 집계됐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 0.8% 늘어났지만 최종소비지출(1.8%)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