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가습기 살균제' 청문회서 SK케미칼 책임 질타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국회 가습기살균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청문회 이틀째인 30일 SK케미칼에 대한 위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SK케미칼은 가습기 살균제를 처음 개발한 곳이자 많은 사상자를 낸 옥시의 제품에 들어가는 핵심 원료를 공급한 바 있다. 정유섭 새누리당 의원은 SK케미칼이 1994년 국내 처음 출시한 가습기살균제 '가습기메이트'의 주원료인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CMIT/MIT)에서 1급 발암물질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정 의원은 "SK케미칼은 1991년부터 2007년까지 17년간 CMIT/MIT의 안정성을 높이고 독성물질을 제거하는 특허를 29차례 출원했다"면서 "사람이 흡입하는 가습기 살균제를 개발하면서 안전성을 철저히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김삼화 국민의당 의원은 SK케미칼이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상에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의 독성을 서로 다르게 표기해 PHMG의 유해성을 고의로 숨겼다고 주장했다.1997년 3월 SK케미칼이 작성한 MSDS에서는 '심한 자극성'으로 표기돼 있다가 이후에는 '자극성 있음'으로 표현하며 유해성이 더 약한 것처럼 바꿨다는 것이 김 의원의 설명이다.정태옥 새누리당 의원은 "CMIT/MIT와 PHMG를 공급한 근본적인 SK케미칼이 이 이런저런 이유로 옥시와 달리 보상안을 밝히지 않은 것을 굉장히 나쁜 태도"라며 "피해자에 대한 미필적 고의 아닌가"라고 추궁했다.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책임 있는 기업이라면 정부 발표를 수동적으로 기다리지 말고 보상이나 해명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이에 김철 SK케미칼 대표는 "PHMG에서 가습기 살균제 쪽으로 나간 것은 1~2억원 정도로 미미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정조사의 여러 조사 결과를 따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 대표는 "화학물질을 제조하는 회사의 책임은 어디까지 가야하느냐, 용도 전개에 대해서 어디까지 알 수 있고, 공급망은 어디까지 책임져야 하느냐는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전사회적, 전산업적 문제라고 생각해서 이 부분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김 대표는 "가습기 메이트 단독 사용 피해자 5명에 대해선 우리가 어떤 법적 책임 관계를 떠나서 깊이 고민하겠다"며 "도의적인 책임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