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과학기술전략회의
인공지능 등 9개 프로젝트톱다운 방식 적용 투자 확대자율주행차 5700억 선진국 잡기범부처 종합지원 체계 구축수출맞춤형 스마트시티 선점AI전문기업 2026년 1000개로[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 최일권 기자, 강희종 기자, 오현길 기자] 정부가 10일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저성장 시대를 과학기술로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열고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스마트시티 ▲인공지능(AI) ▲가상 증강현실(AR) 등 성장동력 확보 5개 과제와 ▲미세먼지 ▲탄소자원화 ▲정밀의료 ▲바이오신약 등 삶의 질 관련 4개 등 총 9개 프로젝트를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는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해 산학연 전문가 43명이 참석했다.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정부의 국정철학을 반영해 국가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할 분야를 톱다운 방식으로 정했다"면서 "과감한 투자와 민관 협업, 규제 혁파 등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청와대는 9대 프로젝트에 대해 관(官)이 아닌 시장 사정을 잘 아는 기업들이 사업을 주도하도록 하고 그동안 연구개발(R&D)의 고질적 병폐인 부처 간 칸막이도 없애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부처별 업무영역 구분 없이 프로젝트별로 단일사업단을 운영하고 사업단장에게 과제기획, 예산배분, 평가까지 일임할 방침이다. 또 사업이 진행되는 도중 시장 환경이 변할 경우 그에 맞는 목표로 수정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한다.◆자율주행차에 5700억원 투자= 이 가운데 눈에 띄는 분야는 자율주행차다. 세계적 트렌드에서 한 발짝 늦었다는 혹평을 받고 있지만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술 격차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주변 상황 인식 카메라와 레이더, 통신모듈, 3차원 디지털지도 등 8대 핵심부품을 2019년까지 개발한다. 영상처리와 통신 등을 지원하는 차량용 시스템 반도체 기술은 2021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또 AI 기반 인식률 제고 기술, 교통흐름 최적화 기술 등 6대 융합 신기술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내 자동차와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간 융합을 확대하고 무인셔틀이나 교통관제 등 신시장 창출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해 규제프리존 등에서 실증 후 사업화를 추진한다.산업융합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자율주행차 기술 선도국으로 도약하면 완성차 세계시장 점유율 10% 이상 달성, 신규 강소기업 100개 육성 등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또 안전성이 확보된 구간에서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편안히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졸음이 오는 경우 자율주행 모드로 전환해 교통사고 확률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스마트시티 선점… 해외 수출= 시장 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스마트시티 부문을 선점하기 위해 '수출 맞춤형 스마트시티' 구축에도 나선다. 기술개발 5개년 과제를 선정하고 해당 분야 투자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의 강점인 도시개발 경험과 우수한 ICT를 연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맞춤형 실증모델 구축으로 기술 우위를 확보해 글로벌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산업으로 자리매김시키겠다는 전략이다.도시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데이터화하고 상호 연계시켜 통합관리하면서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아파트단지나 빌딩의 한쪽 출입구 인근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다른 출입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식이다. 아울러 교통과 에너지, 물 등 개별 인프라 시스템을 연계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개별 건물 위주의 에너지 관리 방식이 현재의 모습이라면 주변 시설물까지 감안한 폭넓은 도시관리 시스템을 만들어 에너지 관리 효율과 리스크 헤지 기능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구축되면 각종 도시 관리 효율성이 15% 이상 향상될 것"이라며 "전기요금과 수도요금이 최대 20%까지 줄어들고, 교통정체와 온실가스 피해도 15%가량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AI, 10년 후엔 선진국 수준으로= AI 기술은 10년 뒤인 2025년에는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는다는 계획이다. 2019년까지 다양한 전문 지식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의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보조할 수 있는 AI 요소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AI 전문기업을 2019년 100개, 2026년에는 1000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정부는 또한 티타늄, 마그네슘, 알루미늄, 탄소 섬유 등 경량 소재 핵심 기술을 개발해 현재 15억달러 수준인 수출 규모를 2025년 310억달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9년까지 차체용 경량 소재 합금기술, 2020년에는 항공용 소재 원천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태진 기자 tjjo@asiae.co.kr정치경제부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