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김한길(62) 국민의당 의원(4선·서울 광진구갑)이 17일 야권연대 무산에 책임을 지고 20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혁신정치가의 아들로 태어나 야권 비주류의 좌장, 제1야당의 대표까지 지낸 김 의원의 다사다난한 정치사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고(故) 김철(1926~1994) 통일사회당 당수의 장남으로 태어난 김 의원은 혁신계 정치인의 아들이라는 이유로 어린시절부터 적잖은 고초를 겪으며 성장해 왔다.이후 김 의원은 도미(渡美) 생활을 거쳐 1991년 베스트셀러인 '여자의 남자'를 발표하면서 유명세를 얻었고, TV프로그램 진행 등으로 전국적인 지명도를 얻었다.김 의원은 1992년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의 통일국민당에서 부대변인을 맡아 14대 총선에 출마했지만 낙선했고, 뒤이어 1996년 15대 총선에서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입제안을 받아들여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전국구)로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야당인사가 된 김 의원은 1997년·2002년 대선에서는 미디어 분야를 총괄, 김 전 대통령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을 당선시키는데도 적지 않은 역할을 담당헀다. 김 의원은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최대계파인 정동영계에 몸을 담고 원내대표까지 지내는 등 승승장구 했다.하지만 2006년 지방선거에서 여권(당시 열린우리당)이 처참한 성적표를 보이면서 김 의원은 노 전 대통령에게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 시작했다. 특히 김 의원은 2007년 대선을 앞두고 23명의 의원과 동반 탈당해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하면서 노 전 대통령 및 친노세력과 결별했다. 뒤이어 김 의원은 민주당과 합당해 중도통합민주당을 만들었다가, 다시 동료의원들을 규합해 대통합민주신당에 참여했다.김 의원은 당시 중도통합신당 창당과 관련해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당시(2007년 대선 직전) 열린우리당 분위기는 지지율이 낮으면 패배하는게 당연하다, 당당하게 패배하자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동의할 수 없었다"며 "당내에서 다른 시도를 통해 정권교체 가능성을 피우자는 분위기가 있었고, 탈당을 결심한 의원들이 제게 이끌어주는 선배가 있어야 한다고 해서 같이 (탈당) 하게된 것이다"라고 술회하기도 했다.18대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김 의원은 19대 총선에서 지역구를 서울 구로구을에서 광진구갑으로 변경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특히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대 대선에서 패배하자 이듬해 전당대회에서 그는 정치입문 20여년 만에 제1야당의 당수로 올라섰다.제1야당의 당수가 된 김 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가 이끌었던 새정치연합과의 합당을 추진, 새정치민주연합을 탄생시키면서 전성기를 구가하기도 했다.하지만 새정치연합이 2014년 지방선거에서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당은 혼란에 빠지기 시작했고, 이어진 재보궐선거에서 패배하면서 김 의원은 대표직에서 물러났다.권토중래를 노리던 김 의원은 지난해 새정치연합의 분당국면에서 탈당을 결행했고, 안 대표와 손잡고 제3정당인 국민의당 창당에 나섰다. 김 의원은 당시 "패권주의의 틀에 갖혀 주저앉아서 뻔히 패배가 예상되는데 그 패배는 기다리고만 있는것은 내가 선택할 길이 아니다"라며 "이기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제가 정치하면서 지켜온 원칙이고 실천해 왔던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국민의당 지지율이 하락추세를 보이면서 김 의원과 안 대표는 '야권연대' 문제를 두고 갈등을 빚었고, 김 의원은 자신의 야권연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선대위원장 사퇴 등 승부수를 던졌다. 하지만 야권연대에 있어 유사한 입장을 취한 천정배 대표가 당무 거부를 풀고 합류하자 정치적 입지가 고립무원에 빠졌다. 이날 김 의원은 탈당 등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