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아라 공익
윤 센터장 “센터활동은 ‘을’이었던 주민을 주인으로 세우는 작업”"2015년 3924명 주민참여육,248회 주민컨설팅 등 만만치 않는 활동전개""올 3월 민간위탁에서 직영운영 전환, 센터의 ‘고민’도 수록"[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동네의 평범한 옆집 아저씨, 아줌마들이 ‘공익활동가’로 성장하고 등장했다.”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센터장 윤난실)가 2015년 한 해 동안 활동한 사례를 모은 활동백서 '날아라 공익'을 펴냈다. ‘마을공동체 중간지원 조직’으로 활약한 성과와 앞으로 과제를 담아냈다.2013년 4월 문을 연 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는 주민들이 공공의 이익에 관심 갖도록 활동을 돕고, 지원하는 곳. 마을만들기, 주민 및 활동가 교육, 사회적경제 지원, 주민 플랫폼 지원 등 민과 관을 연결하며 마을공동체를 키우는 일을 하고 있다. 2015년은 센터가 활동한 지 3년 차, 윤 센터장은 “‘을’이었던 주민을 주체로, 주인으로 세우는 작업이었다”며 “광산주민들의 발굴”을 센터의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활동백서 <날아라 공익>은 광산구를 중심으로 공익활동 사례를 기록하고 점검한 것으로 광산구 공동체운동의 변화와 함께 주민들이 바라는 우리 사회의 요구사항들을 들여다볼 수 있다. 세세한 활동 기록으로 활동가들에게 유익한 정보제공은 물론 공동체연구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민마을교육 등 현장에서 수렴한 주민들의 마을에 대한 생각, 의견, 느낀점을 책 속에 담아내 주민과 마을활동가들 고민점, 요구도 살필 수 있다.특히, 이번 활동백서에서는 올해 3월 민간위탁운영에서 직영체계로 운영되는 공익활동지원센터의 ‘고민’을 엿볼 수 있다. 공익활동지원센터는 지자체가 설립하고 민간단체가 운영하는, 전국에 없었던 모델로, 그 활동을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광산구의회의 계속된 예산삭감 등으로 민관위탁 운영기관이던 마을두레가 “더 이상 센터를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며 운영 포기 결정을 했다. 이에 광산구는 새로운 민간위탁 운영기관을 찾기 위해 지난해 11월 광산구의회에 ‘민간위탁 동의안’을 제출. 하지만 구의회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처리를 미뤘다. 광산구는 운영 공백을 막기 위해 지난 1월 직영전환을 결정했다. 활동백서에서 윤 센터장은 구의회의 ‘센터 발목잡기’에 대해 “구의회가 공익센터를 공적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다.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공익센터를 보고 있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직영운영전환에 관해서는 “민간위탁, 직영, 두 가지 다 일장일단이 있다”며 “직영운영의 단점을 줄이려면 행정조직 안에서 센터 운영의 자율권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한다”고 밝혔다.활동백서 <날아라 공익>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눠져 구성됐다. 공익센터의 활동내용, 주민들 반응을 살필 수 있는 주민 인터뷰와 공동체 취재기사, 2015년 광산구의회 센터예산 전액삭감에 따른 공익활동가들의 천막사무실 운영. 그리고 2015년 한 해 동안 3,924명 주민참여교육, 248회 주민컨설팅 등 만만치 않게 걸어온 공익활동지원센터 1년 활동 평가. 기존의 딱딱한 보고서 형식을 벗어나 실제로 현장을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구성돼 ‘읽는 재미’를 더했다. 윤난실 센터장은 “구의회와의 소통문제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활동을 해낼 수 있었던 것은 ‘공익센터가 하는 일이 맞구나, 센터가 꼭 필요하다’는 확신을 절실하게 느꼈기 때문이다”며 “앞으로도 마을활동가를 키워내는 일, 마을플랫폼을 만드는 일, 사회적경제와 NPO를 지원하는 일 등 마을활동을 전면화하는 일들을 기획하고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노해섭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