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제조업 혁신, 소위 4차 산업혁명이 세계 산업구조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고용시장에는 비극을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7일 국제금융센터의 4차 산업혁명과 고용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으로 향후 5년간 과학기술 분야의 고용 증가가 기대되나 노동력 대체 기술의 출현 등으로 15개 선진국 기준 전체 일자리는 500만개나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4차 산업혁명은 인터넷이나 클라우드, 인공지능과 같은 최신기술을 조합하여, 제조업 변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독일에서 시작됐다. 공장의 제품개선, 작업 효율화에 머물지 않고 자재조달부터 설계, 생산, 물류,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혁신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이러한 4차 산업혁명으로 컴퓨터·수학 분야의 일자리는 3.2% 늘어나며 건축공학 분야도 2.7% 가량 일자리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사무?행정 분야에서는 4.9%, 제조업은 1.6% 등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특히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 노동시장, 교육, 인프라, 법률체계 등이 비교적 유연한 선진국은 경제적 수혜가 예상되나 신흥국은 자산시장 및 저숙련 노동자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분야별로는 전통적인 화이트칼라 일자리가 감소하며, 제조·생산 분야는 적층제조·3D프린팅, 자원효율적 생산, 로봇 등이 노동을 대체하면서 상당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반면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등을 만들 수 있는 고숙련 기술자 수요는 증가할 전망이다.보고서는 "이 같은 자동화의 활용이 저숙련 직업에서 중간기술 직업으로 확산되면서 단기적으로 노동시장 내 양극화가 심화될 우려가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소수 인원을 통한 낮은 자본집약도의 사업모델이 부상하면서 자산 불균형도 확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이어 "과학기술 분야와 고숙련 일자리 수요충족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산업수요에 적합한 기존 인력의 재교육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 교육 시스템의 유연성 개선과 산-학간 협조를 통한 인력양성 등의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