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업무보고]창조경제·문화융성 신산업, 정책자금 80兆 지원

제조업 치중된 정책금융, 비제조업 新 산업 분야로 융통할 수 있게 정책자금 우선 지원

(자료:금융위원회)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금융위원회가 창조경제와 문화컨텐츠 분야에 정책자금 80조원을 지원한다. 비즈니스 주기가 짧고 초기 리스크가 높지만 미래 성장기반이 되는 신성장 산업 분야에 정책금융을 집중 수혈한다는 복안이다. 금융위는 18일 제2차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창조경제, 문화융성분야에 올해 80조원의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창조경제분야에는 72조4000억원, 문화융성분야에는 7조2000억원 수준이 정책자금을 통해 융통된다. 창조경제 분야로는 ▲스마트카 등 ICT융·복합, ▲수술 로봇 등 바이오·헬스 분야, ▲전기자동차 등 에너지 신산업, ▲탄소섬유 등 첨단신소재, ▲화장품 등 고급소비재 등을 꼽았다. 또 문화융성분야에는 ▲소프트웨어, ▲게임, ▲광고, ▲영상, ▲캐릭터, ▲방송, ▲공연, ▲출판, ▲디자인, ▲영화, ▲관광 등의 산업을 예로 들었다. 투자 세부사항으론 창조경제 분야에선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이 대출에 45조6000억원을 지원할 전망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기술창업, 고부가서비스보증 등에 19조4000억원을 공급한다. 투자부문에선 산업과 기업은행이 스타트업 펀드, 기술금융펀드 등을 통해 7조4000억원 수준을 공급한다. 문화융성분야에도 대출 3조2000억원, 보증 3조5000억원, 투자 5000억원 수준의 자금이 수혈된다. 서비스산업지원자금, 문화콘텐츠 보증과 유망서비스 콘텐츠 펀드의 형태를 통해서다. 김용범 금융위 사무처장은 "전체 정책자금 245조원 중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등 중점지원분야에 지원비중을 1/3 이상 우선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초기리스크가 큰 점을 감안해 투자와 융자, 기술기반 대출 등 지원방식도 다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조합, 성장사다리 펀드 등 정책금융기관과 민간투자자간 협업을 통해 공동·간접투자도 확대한다. 단순대출에서 기술금융, IP금융 투·융자 등 복합금융을 확대해 핵심 성장동력 기술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정책금융기간의 체질개선도 유도한다. 제조업 분야에 치중돼 있는 정책금융을 비제조업 신산업에도 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비스, 물류 등에도 심사모형을 늘리고 정책금융기관 영업부서의 핵심 성과지표(KPI)를 개선해 창조경제 지원과 성과평가를 연계할 방침이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