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과 기업의 신용 및 기술평가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한국신용정보원이 어제 공식 출범했다. 그동안 은행연합회 등 6개 금융기관에 흩어져 있던 관련 정보들이 이제는 한데 모이게 됐다. 금융당국과 업계의 기대처럼 금융사들의 리스크 관리, 기술금융 발전 등에 많은 기여를 하기 바란다. 그러자면 기관의 역할부터 제대로 설정하고 업무 수준도 높여야 한다.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개원식에서 신용정보원에 대해 '세계 최초의 신용정보 집중 기관'이며 '보물창고'라고 말해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나 이 기관은 우리 금융업 발전의 자연스런 산물이라기보다는 '사고'가 노출시킨 허점에 대응해 세워진 것이다. 2014년 초에 터진 카드사 정보유출 사태가 개인신용정보의 관리에 큰 구멍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자 서둘러 설립 논의가 시작됐고 근 2년 만에 국회 입법 등을 거쳐 출범한 것이다. 이 같은 태생적 배경이나 은행연합회에 있던 조직을 독립시키면서 다소 키운 정도라는 지적은 신용정보원의 역할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으로 나타나고 있다.그러나 이런 사정들에도 불구하고 신용정보원이 앞으로 금융시스템의 취약점과 미비점들을 개선하는 데 적잖은 역할을 해 주기 바란다. 특히 가계ㆍ기업 부채가 우리 경제의 뇌관이 돼 있는 지금의 상황은 신용정보 시스템의 개선을 시급히 요청하고 있다. 무엇보다 '집중'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분산 관리되던 신용정보가 통합된다는 것은 금융회사들이 개인과 기업의 신용을 더욱 종합적이면서 면밀히 평가할 수 있게 된다는 걸 의미한다. 은행ㆍ보험ㆍ대부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추출된 정보를 종합, 보다 정밀한 신용평가모형들을 마련하길 바란다. 기술금융의 편의성 제고, 보험사기 대응력 향상, 빅데이터 기반 신금융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길 기대한다. 한편으로는 금융기관과 소비자 간의 이른바 '정보의 비대칭성'을 개선하는 데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많은 금융 소비자들은 신용정보를 금융회사가 매우 폐쇄적으로 관리하는 지금의 관행에 불만이 많다. 이용자가 자신의 신용내역을 좀 더 쉽게 파악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들을 마련해 보기 바란다.신용정보의 통합 관리는 그만큼 리스크도 더욱 커지는 양면성이 있다는 지적을 빼놓을 수 없다. 신용정보가 집중된다는 것은 기존 시스템 이상의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렇게 되면 애초의 이 기관의 설립 취지부터가 무색해진다. 더욱 철저한 보호와 안전관리가 필요한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