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유통가 핫 키워드]면세업계 지각변동…베일 벗는 新 시내면세점

용산·여의도·동대문, 신흥 면세점 오픈명동은 2강 체제로…신세계의 도전워커힐면세점 역사속으로…3천억 쏟은 월드타워점도 폐점5년에서 10년으로, 고무줄 기한 또 바뀔까[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올해 면세 업계에는 일대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지난해 말 사업권을 신규로 획득한 시내 면세점들이 문을 열고, 프리오픈했던 곳들도 해외 럭셔리 브랜드를 유치, 본격 개장하며 한 판 붙는다. 특허 재승인에 실패한 일부 업장은 상반기까지 폐점을 마무리 할 예정이다. 면세 사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나 특허 기한에 대한 변화도 전망된다. 일본과 중국 등 주변국의 공세로 글로벌 면세 시장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미 발의된 관세법 개정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정부도 이 같은 상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관련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다각도의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용산·여의도·동대문, 신흥 면세점 오픈= 지난해 면세 특허를 신규로 따낸 곳은 HDC신라면세점(호텔신라와 현대산업개발의 합작법인), 한화갤러리아, 두산이다. 이들은 용산, 여의도, 동대문을 입지로 면세점을 세우고 인근 지역을 연계해 관광 특구를 만든다는 공통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명품 '빅3'를 누가 먼저 완성도 있게 유치하느냐다. 빅3는 샤넬, 에르메스, 루이뷔통 등 해외 고가 브랜드를 일컫는다. 해외 관광객들의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본사로부터 매장을 유치하기 쉽지 않아 면세점의 수준을 판가름하는 척도로 여겨진다. 현재까지는 HCD신라면세점이 지난해 12월24일 오픈한 신라아이파크 면세점이 가장 우세한 흐름이다. 빅3를 비롯해 프라다, 구찌, 펜디 등의 입점을 확정짓지는 못했지만, 현재 긍정적인 논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랜드 오픈일을 오는 3월로 잡은 것 역시 결과에 대한 자심감으로 비춰진다. 현재 신라아이파크 면세점은 페라가모, 발렉스트라, 비비안웨스트우드, 발리 등의 입점을 확정한 상태다.
한화갤러리아가 운영하는 갤러리아 면세점 63의 경우 그랜드 오픈을 6월로 예상하고 있다. 오는 3월을 기준으로 유치가 확정된 브랜드는 스테파노리치, 쇼파드, 파네라이 등이다. 갤러리아 면세점 관계자는 "빅3의 경우 올해 말이나 2017년 초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갤러리아의 경우 시내 면세점 운영 경험이 없다는 점이 약점으로 꼽히는 반면, 한강 조망권의 63빌딩 내에 위치하고 있고 하절기에는 한강의 수상 레포츠나 유람선 관광과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두산은 지난해 사업권 획득을 계기로 면세점 사업에 처음 도전하는 만큼, 부담이 큰 상태다. 그러나 박용만 두산 회장이 줄곧 브랜드 유치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쳐왔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순조롭게 입점 계약을 마칠 가능성도 크다. 실제로 박용만 회장은 샤넬, 루이뷔통 등 명품 브랜드를 포함한 460여개 브랜드의 입점 의향서를 수령했다고 기자들에게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유치의 배경으로는 지난 1996년부터 패션지를 발행하면서 쌓아온 대외관계가 꼽혔다. 두산은 내년 5월을 목표로 면세점 오픈을 준비중이다. ◆명동은 2강 체제로…신세계의 도전= 롯데면세점 본점(소공점)의 독무대였던 명동에는 신세계DF의 면세점이 들어선다. 이제껏 밀려드는 중국인관광객(요우커)을 독점해 왔지만, 앞으로는 '2강' 체제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 브랜드 뿐 아니라 서비스와 마케팅, 영업 측면에서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개인자유여행객(FIT·Free Individual Travel)의 경우 두 면세점 모두를 자유롭게 이용할 가능성이 크지만 단체관광객의 경우 여행사와의 계약 체결을 통해 정해진 시간동안 관광객을 유입시키기 때문이다. 롯데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의 입점 브랜드가 크게 다르지 않다고 가정할 경우, 한정된 요우커 수요는 둘로 쪼개지게 된다. 한편, 신세계는 이르면 오는 4월, 늦어도 5월까지는 내·외부 공사를 마치고 신세계백화점 본점 신관에 면세점을 오픈한다는 계획이다. ◆워커힐면세점 역사속으로…3천억 쏟은 월드타워점도 폐점= 지난해 11월 관세청의 심사에 따라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과 워커힐면세점은 올해 상반기 폐점한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오는 6월까지는 영업을 이어갈 계획이며, 워커힐의 경우 직원 고용승계와 재고 처분 문제의 해결 방향에 따라 추후 결정할 예정이다. 이들 면세점은 모두 서울 시내에서 15년 이상 영업해온 베테랑 업장이다. 각 특허를 가지고 영업을 개시한 것은 월드타워점이 1989년, 워커힐이 2000년 무렵이다. 매출(지난해 기준) 역시 각각 4820억원, 2929억원에 달한다. 최근 리모델링 등에 투자한 비용만 해도 월드타워점 3000억원, 워커힐점 1000억원 규모다. 해당 비용은 면세점의 폐점과 함께 공중분해 된다. 가장 큰 문제는 각 면세점에 고용됐던 인력이다. 월드타워점 1214명, 워커힐점 874명 수준으로 2000여명의 직원이 당장 매장 문 닫을 날을 세며 일하고 있다. ◆5년에서 10년으로, 고무줄 기한 또 바뀔까= 글로벌 시장 경쟁력 악화 등 후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국회에서는 뒤늦게 관련법 개정안을 발의하며 조기진화에 나섰다. 박인숙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해 12월18일 면세점의 특허 심사 평가기준을 법률로 상향하고 특허기간을 5년에서 다시 10년으로 연장하는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5년이라는 제한 탓에 기업들의 투자의욕과 국제경쟁력이 저하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19대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처리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국회법상 오는 2월까지 임시국회 소집이 가능하지만, 4월 총선을 앞둔 시점에서 정상적인 의정활동은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8일 현재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의안은 1만8483건에 달한다. 이제까지의 의안 처리 속도로 미뤄볼 때 1만건 이상의 의안이 폐기될 예정이다. 관세법을 포함해 당장 내년 총선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개정안을 처리 우선순위에 두지는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정부는 관세청, 공정거래위원회,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과 함께 지난해부터 면세점 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를 운영중이지만, 현재까지 이렇다 할 해결책을 내놓지는 못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