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족정책 5개년' 위해 국민과 현장 목소리 들으러 나선다

[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 정부가 향후 5년간 정부 가족정책의 틀을 세우기 위해 국민들의 의견 수렴에 나선다.여성가족부는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안)'에 대한 각계 의견을 듣기 위해 29일 오후 2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날 공청회에는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현장 관계자와 가족정책 관련 전문가, 관계부처 및 지자체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제3차 기본계획(안)의 주요 과제에 대해 토론한다.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될 제3차 기본계획(안)은 '모든 가족이 함께 행복한 사회 구현'이라는 비전 아래 '다양한 가족이 차별 없이 생활할 수 있는 사회'와 '남녀 모두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사회'를 목표로 6대 정책과제와 20개 단위과제, 53개 세부과제를 담고 있다.6대 정책과제는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서비스 기반 조성 ▲가족유형별 맞춤형 서비스 지원 강화 ▲정부-가족-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돌봄 지원 강화 ▲남성과 여성, 기업이 함께하는 일·가정 양립 실천 ▲생애주기별 출산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가족환경 변화에 대응한 정책 추진체계 강화 등이다. 여성가족부는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제정 이후, 그동안 제1·2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을 수립해 가족가치 확산과 한부모·다문화가족 등 다양한 가족 지원에 중점을 둔 종합대책을 추진해 왔다. 올해 제2차 기본계획(2011~2015)이 종료됨에 따라 지난 4월부터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함께 전문가 및 관계기관 등이 참여하는 워크숍과 자문회의 등을 통해 제3차 기본계획(2016~2020)(안)을 마련했다.여성가족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관계부처와 협의해 내년 1~2월 중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발표할 예정이다.윤효식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관은 "지난 제1~2차 기본계획이 정책 추진체계 및 기반 구축 등을 통해 가족정책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면, 이번 제3차 기본계획은 기존정책을 내실화하고, 국민들이 정책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윤나영 기자 dailybes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