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최초,‘해남 평화의 소녀상’ 건립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후대에 역사의 진실을 증언할 평화의 소녀상, ‘해남 평화비’가 12일 해남읍 해남공원에 전남 최초로 제막된 가운데 이낙연 전남지사가 소녀상의 손을 쓰다듬고 있다. 사진제공=전남도

"12일 해남공원서 제막식…위안부할머니 명예·인권 회복 기원"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평화와 인권의 상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그런 피해가 다시없도록 다짐하기 위한 ‘해남 평화비(평화의 소녀상)’제막식이 12일 해남군 해남공원에서 개최됐다.전남에서 최초로 건립된 ‘해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는 이낙연 전라남도지사와 명현관 도의회의장, 박철환 해남군수를 비롯한 기관단체장, 해남군민 등이 참석했다.‘해남 평화의 소녀상’건립 비용은 해남군 47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해남평화비건립추진위원회에서 지난 8월부터 모금운동을 펼쳐 마련했다.제막식은 사전행사로 펼쳐진 ‘여는길놀이’를 시작으로 경과보고, 축사 및 헌화, 타임캡슐 봉안 순으로 진행됐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후대에 역사의 진실을 증언할 평화의 소녀상, ‘해남 평화비’가 12일 해남읍 해남공원에 전남 최초로 제막됐다. 이낙연 전남도지사, 명현관 전남도의장, 박철환 해남군수, 김영록 국회의원, 김운성 작가, 이명숙 해남평화비건립추진위원회 상임대표와 추진위원들이 ‘해남 평화비‘ 막을 걷은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전남도<br />

이낙연 도지사는 이 자리에서 “일본 그들이 지우려한다고 해도 역사가 지워지는 것도 아니고, 그들이 역사책을 바꾼다 해도 진실이 바꿔지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이 지사는 또 “할머니들이 돌아가신다고 해도 진실이 묻히는 것도 아니다”며 “할머니들이 돌아가셔도 평화비는 남아서 역사를 증언할 것이고 후대의 기억을 일깨울 것”이라고 덧붙였다.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 1천 회째인 2011년 11월 14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졌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29개의 평화비가 건립됐다.노해섭 기자 nogar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노해섭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