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계열사 조직개편 3대 키워드는

'시너지·책임강화·글로벌' 이재용 색채 드러내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김은별 기자] 삼성그룹 계열사들이 사장단 인사와 임원 인사에 이어 조직개편을 마무리 짓는다. 삼성물산이 8일 조직개편을 완료한 가운데 9일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 계열사들이 일제히 조직개편을 끝낼 예정이다. 가장 먼저 조직개편을 마친 삼성물산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너지 창출', '부문별 책임경영 강화', '글로벌' 등 3대 키워드를 읽어낼 수 있다. 이는 삼성전자 등의 다른 계열사에도 그대로 적용됐다.삼성물산은 4대 사업부문을 그대로 유지해 외형상의 변화는 크지 않지만 내부 팀과 그룹들의 대규모 통폐합을 통해 조용한 변화에 나섰다. 특정 부문에 쏠리지 않게 골고루 힘을 실어줘 각각 책임경영을 하게 하되, 부문 간 연동할 수 있는 조직들은 강화해 시너지를 내도록 했다. 상사부문은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확대했다. 기획팀 조직을 전무급에서 부사장급으로 키웠으며, 상사부문 내에는 중남미 담당 조직을 신설한다. 삼성물산은 건설, 리조트, 패션, 상사 등 부문별 경영을 이어가되, 중복되는 건설 사업만 정리해 유사한 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건설의 경우 기존 건설ㆍ리조트부문 소속이던 빌딩사업과 플랜트, 조경 등의 사업을 건설부문으로 한 데 모아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했다. 대신 리조트부문은 에버랜드 등 테마파크 사업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패션사업은 오너가인 이서현 사장이 전면에 나서는 만큼, 더 책임감을 가질 수 있을 걸로 보고 있다. 이처럼 부문별 사업에 중점을 두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직은 더욱 강화했다. 부문간 시너지를 위해 삼성물산 전사 지원조직을 확대키로 했다. 상사부문 내에는 섬유ㆍ식량사업과 관련된 조직을 키워 삼성물산 내 패션, 식음사업으로 바꿔 상사부문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했다.상사부문 내 기획팀은 기존 전무급에서 부사장급 조직으로 키워 삼성물산내 전반적인 시너지를 고민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상사부문 내 중남미 담당을 신설, 새롭게 뜨는 시장인 중남미 시장 영업을 강화할 수 있도록 했다.삼성물산 관계자는 "합병한 지 100일이 됐는데,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한다"며 "합병 후 개편을 통해 장기 성장기반을 다졌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삼성전자 역시 디바이스솔루션(DS), 소비자가전(CE), IT모바일(IM) 등 3개 사업부문이 그대로 유지되며 외형상의 변화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팀과 그룹 등 산하 조직들이 통폐합 되고 전사 스텝 조직들의 현장 재배치를 통해 내부적으로는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번 인사를 통해 DS, CE, IM 3개 부문장은 각자 겸직하던 보직을 모두 떼어냈다. 사업부장의 역할 보다 사업 전체를 총괄하는 부문장의 역할에 무게를 둔 것이다. 3개 부문의 책임경영을 강화한 조치다. 조직개편 역시 이와 같은 기조속에서 단행된다. 홍원표 사장이 계열사인 삼성SDS로 옮기며 실장 자리가 공석이 된 글로벌마케팅실(GMO)은 부사장급으로 진용을 새롭게 꾸린다. 지난해 글로벌B2B센터를 해체한 뒤 GMO 역시 해체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됐지만 브랜드, 전시업무 등 GMO가 맡고 있는 기능을 특정 사업부에 넘기기 어렵다는 판단에 조직을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센터 역시 CE부문에서 타이젠을 기반으로 한 사물인터넷(IoT) 전략을 본격화 하고 있는 만큼 그대로 유지키로 했다. 지난 10월부터 이동하기 시작한 DMC연구소는 대부분의 인력을 각 사업부문으로 편재했다. 사업부간 업무 조정도 활발하다. 디지털카메라 사업을 축소하며 해당 인력들이 의료기기 사업부로 이동하는 등 중복되거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내부 조직간 이합집산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 외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전자계열사들은 이미 사업재편 과정을 겪으며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한 만큼 기존 주력사업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조직개편 폭을 최소화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외형상으로는 그리 크지 않지만 각 계열사, 사업부별로 전문성을 강화하고 서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진행됐다"면서 "장기 성장을 위한 새로운 기반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산업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