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동시다발 테러가 일어나 수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온라인상에 테러 당시 쓰인 폭발물 제조법을 알려주는 게시물들이 무분별하게 떠돌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이번 파리 테러 당시 테러범들은 TATP(트라이아세톤 트라이페록사이드)라는 폭발물질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폭발물질은 아세톤과 과산화수소 등을 반응시켜 만들 수 있는데, 이번 테러에서 증명됐듯 살상력이 큰데다 원료의 대부분을 생활용품점이나 화장품 판매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을 정도로 구하기 쉬워 테러범들의 단골 소재다.인터넷에 검색만 해봐도 ‘일반인이 화학에 대한 기초지식만 있으면 쉽게 시약을 구해 이 폭탄을 제조할 수 있다’며 이 물질의 제조방법을 알려주는 글이 적지 않다.해외 사이트뿐 아니라 국내 포털사이트에서도 ‘화염방사기 제조’, ‘드라이아이스 폭탄 제조’, ‘액체질소 폭탄 제조’ 등 다양한 폭탄 만들기 동영상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화염방사기는 라이터와 분무기, 드라이아이스 폭탄은 드라이아이스와 아세톤 등, 액체질소 폭탄은 액체질소와 페트병 등만 이용하면 만들 수 있다. 액체질소를 제외하고는 이들 모두 쉽게 주위의 슈퍼마켓 등에서 구할 수 있는 것들이다. 고압가스의 일종인 액체질소 역시 가스회사나 인터넷 판매 사이트 등을 통해 어렵지 않게 손에 넣을 수 있다.이같이 위험한 정보가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고 있어 범죄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도 뚜렷한 규제가 없는 현실이다.서울 양천구 A중학교의 빈 교실에서 9월 부탄가스통에 불을 붙여 터뜨렸던 이모(15)군 역시 경찰조사에서 “유튜브에 올라온 폭탄 제조법 등이 담긴 동영상을 보고 범행을 계획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인터넷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고 쉽게 재료를 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이는 공공의 안정과 질서를 크게 위협하는 행위이니만큼 규제해야 할 대상”이라고 지적했다.이 교수는 “화학물질을 관리할 때 신원과 용도, 판매기록을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욱 엄격해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포털사이트들이 책임을 갖고 이 같은 정보가 쉽게 유통될 수 없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