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유불리 뿐 아니라 각당 계파·지역도 고려해야권역별 비례대표 최대 쟁점…지역구 수 확대 가닥[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20대 국회의원 총선거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의 법정시한(11월13일)이 임박, 여야 지도부로 공이 넘어가면서 김무성 새누리당·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결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거구 획정은 국회의원 300명의 정치 생명과 직결돼 총선의 유·불리 뿐 아니라 각 당의 계파·지역의 이해관계까지 고려해야 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여야는 11일 정오 국회에서 또 다시 만나 선거구 획정 논의를 이어간다. 전날에도 자정까지 3시간에 걸쳐 논의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날 회동도 양당 대표를 비롯해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 새정치연합 이종걸 원내대표·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야 간사 등이 참석하는 '4+4' 형식이다.선거구 획정 논의에서 가장 쟁점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여부다. 이 문제를 바라보는 두 대표의 시각은 복잡하다. 김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 텃밭인 영남에서 10~15석 이상 내줄 수 있어 야당에게만 유리한 제도라는 것이다. 호남에서 얻을 수 있는 4~5석과 맞바꾸기엔 실익이 적다. 향후 김 대표의 대권 행보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반면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다. 이를 조건으로 지역구 의석수를 소폭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야권은 열세 지역인 영남에서 의석을 확보하고, 이를 고리로 정의당과 연대할 경우 총선 승리도 노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비노(비 노무현)계의 반발도 잠재우고 대권 행보에도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다는 계산이다.두 대표 모두 협상 상대만큼 당내 계파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김 대표는 일관되게 주장해 온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연계해 논의할 수 있지만, 친박(친 박근혜)계 반발로 조심스런 입장이다. 협상장에 함께 들어간 원내지도부부터 대표적인 친박계다. 문 대표 또한 호남을 기반으로 한 당내 비노계의 농어촌 지역구 존치 주장을 외면할 수 없는 입장이다.결국 의원정수와 지역구 의석수를 함께 소폭 늘려 두 대표에게 어느 정도 명분을 쌓아주는 선에서 협상이 끝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 대표는 농어촌 지역구를 지키고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막은 셈이 된다.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관철하지 못했지만, 비례대표 의석 축소를 막고 호남 의원들의 지역구를 지켜줬다는 명분으로 당내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다.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