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미래 신약의 보고(寶庫)’, 곤충으로 치매 예방?

곤충을 이용한 신약개발 연구부문이 최근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신약개발에 활용되고 있는 (왼쪽부터) 갈색거저리 유충, 동애등에, 꽃매미 등 이미지 사진. 특허청 제공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흔하게 접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쉽게 지나치던 사물도 일상에서 새로운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자연의 기능과 효능이 뒤늦게 발견돼 없어선 안 될 주요 자산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가령 곤충으로 의약품을 개발해 특허로 출원되는 사례가 하나의 예가 될 법 하다.곤충을 재료로 한 의약품 관련 특허출원이 계속되고 있다. 19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05년~2009년 사이에 매년 10건 안팎에 불과하던 곤충 의약품 특허출원이 2010년 이후 연평균 20~30건을 넘어서고 있다.곤충은 그 특성상 신약개발을 위한 생물자원으로 많은 장점을 갖는다. 지구상에 서식하는 생명체 100만여종 중 4분의 3은 곤충류로 개체가 다양하고 공룡보다 이른 시기에 출현해 현재까지 생명력을 유지,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성분들의 활용도가 높다는 이유에서다.또 막대한 투자비용이 요구되는 합성신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규모 투자로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 식물 등 다른 생물에 비해 아직까진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아 새로운 기능 및 효능의 발견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여기에 생물체로부터 분리된 천연물을 이용해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은 안전성 면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기초로 한 기대효과는 곤충을 재료로 한 의약품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도 이어지고 이를 통한 특허출원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는 게 특허청의 설명이다.의약품에 접목된 곤충의 종류도 늘고 있다. 전통 약재로 활용빈도가 높은 벌침과 누에를 차치하더라도 최근 갈색거저리, 동애등에, 꽃매미 등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곤충들의 활용 영역이 점차 넓어져 가고 있다는 얘기다.적용되는 질병도 염증, 암, 알츠하이머, 심혈관계 질환, 바이러스 질환 등 다양한 종류로 확대되고 이에 관한 치료효과도 속속 밝혀지는 추세다.특히 곤충 전체를 추출물로 이용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개체에서 펩타이드, 다당폴리머 등 특정한 약효 성분만을 추출해 치료효과를 높이는 기술도 지속적으로 발굴·개발되는 양상을 보인다.일례로 쇠똥구리가 자기방어를 위해 분비하는 항균 펩타이드는 천연항생제, 뒤영벌에서 추출된 다당폴리머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과정에 접목돼 활용된다. 펩타이드는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사슬모양으로 연결된 화합물, 다당폴리머는 당 분자가 다수 결합돼 형성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곤충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및 특허출원은 내국인에 집중되는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출원된 관련 특허의 95.2%가량은 내국인에 의해 이뤄졌다. 이는 여타의 신약개발 분야에 비해 곤충 관련 부문의 국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수치기도 하다. 최근 특허등록을 받은 사례로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이용한 치매 예방?치료용 조성물’, ‘꽃매미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레르기 조성물’, ‘항비만 효과를 갖는 장수풍뎅이 추출물’ 등이 있다. 김용정 특허청 약품화학심사과장은 “곤충 산업은 세계적으로도 각광받는 신산업으로 분류된다”며 “신약 개발의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미지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개척해 나갈 필요성이 부각되는 대목”이라고 했다.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