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골칫거리 '길고양이' 해결방법은 없나

급속한 도시화 속 '도시문제'로 떠올라…중성화 등 관련대책 마련해야

▲강동구 길고양이 무료 급식소에 먹이를 먹으러 왔다 눈치를 보고 있는 길고양이(사진=원다라 기자)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경기도 용인에서 발생한 캣맘 박모(55·여)씨 사망사고의 용의자로 어처구니없게도 초등학생이 지목됐다. '캣맘 혐오'에 빠진 사람의 의도적 범행은 아니었던 셈이다.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촉발된 '길고양이' 우리 사회의 갈등요소가 되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인간의 실수로 도시생태계의 일부가 된 길고양이가 사회적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적절한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길고양이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우리사회의 급격한 도시화와 궤를 같이한다. 쥐 피해가 심각했던 1960~1970년대 이후 고양이들이 방사되면서, 또 키우던 반려묘를 이런 저런 이유로 유기하면서 고양이들이 도심에서 생태계를 꾸리기 시작했던 것이다.서울시 등에 따르면 도심 내에서 서식하는 길고양이는 약 20만 마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식밀도도 1㎢ 당 440마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경기도를 제외한 모든 도(道)의 인구밀도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처럼 길고양이가 도심생태계에 안착하면서 발정기에 소음을 일으키거나, 먹이를 찾기 위해 쓰레기 봉투를 헤쳐놓는 등 관련한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고양이에 대한 혐오 정서가 결합하면서 길고양이 문제는 동물학대나 캣맘과의 갈등 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다보니 시에 접수되는 길고양이 관련 민원만 연간 1만건에 달한다. 길고양이 문제도 비둘기·층간소음 등 처럼 전형적인 도시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셈이다.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영역동물이면서 번식력이 좋은 고양이의 특성상 길고양이를 도시에서 완전히 없애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포획·중성화 후 방사(TNR)를 통해 길고양이의 개체수를 조절해야 한다"고 말했다.하지만 사실상 각 지방자치단체의 길고양이 개체 수 조절, 피해 방지 대책은 지지부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개체 수 조절을 위해 TNR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예산 확보나 포획의 어려움 등으로 지지부진한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 중성화 한 길고양이의 숫자는 연간 4000~6000마리에 불과하다. 높은 번식력을 보이는 길고양이의 증가세를 막으려면 70%는 중성화 해야 하지만, 현재까지의 실적은 10% 남짓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전문가들은 길고양이 문제가 도시문제의 하나로 부상한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조 대표는 "길고양이도 비둘기 등의 사례처럼 도시 야생화된 동물이라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며 "길고양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통해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회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