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그리스 쇼크, 상수가 된 '불확실성'

그리스가 5일(현지시간)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채권단의 구제금융 협상안 수용을 거부하는 선택을 했다. 결국 그리스가 전면적인 디폴트(채무불이행)와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로 치달을 것이라는 예측이 더욱 힘을 얻게 됐다. 그리스 사태의 여파가 어디까지 미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선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 다른 남유럽 국가들에 또다시 위기가 닥칠 것으로 우려한다. 반면 이들 나라가 2010년 재정위기 이후 적극적인 경제개혁으로 상황이 훨씬 호전돼 잘 대처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남유럽이 안전하다 해도 동유럽 국가 쪽으로 사태가 파급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회복 조짐을 보이는 유럽 경제가 다시 위축되면 중국 경제의 부진 등과 겹쳐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고 미국 실물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으론 그렇게 되면 확실시되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늦춰져 오히려 세계 경제에 대한 부양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낙관론도 조심스럽게 고개를 든다.  종합하자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는 것이다. 세계 경제엔 확고한 것도, '안전지대'도 없다는 것이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이 모든 불확실한 상황은 국제경제와 긴밀히 얽혀 있으며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앞에 도사린 암초들이다. 그만큼 한국 경제가 안갯속의 바다를 헤쳐 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역으로 생각해 볼 점이 있다. 즉 이제 경제에서 돌발상황이나 불확실성은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으론 위기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도 촘촘해지고 긴밀해지고 있다. 불확실성의 증대만큼 위기 억제 기제도 촘촘해지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그리스 사태만 해도 2010년 이후 유럽중앙은행(ECB)의 '최종 대출자' 기능 제고 등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강화된 위기 대응책이 위기 전염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중요한 건 위기 자체가 아니라 위기를 내다보고 대응하는 역량이다. 그리스가 지금의 사태를 맞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위기가 올 것으로 예측되는데도 이를 방치한 것에 있다. 위기를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것이 상책이라면 위기 발생 시 그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게 그 다음이고 가장 낮은 수준은 위기가 일어나고도 대처할 줄 모르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가. 위기 대응은 한 나라가 총체적으로 떠맡아야 할 문제지만 가장 큰 책임은 나라를 이끄는 이들의 몫이다. 그리스 사태를 우리의 위기 예측 및 대처 역량을 점검하는 계기로 삼기 바란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