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美 금리올려도 韓 자본유출 크지 않을 것'

자넷 옐런 미국 연준 의장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미국이 금리를 인상해도 우리나라의 해외자본 유출 압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내놓은 '글로벌 금융 경기 변동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자산시장과 자본유출입을 중심으로'보고서를 통해 "과거 미국이 금리 인상을 단행했을 때 해외투자자들이 한국 주식 보유는 줄였지만 채권 보유는 늘려 실제 해외자본 유출은 크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이는 1993년부터 2013년까지 22개국을 대상으로 주식과 채권자본 흐름 등을 분석한 결과다.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미국의 단기금리가 상승하면 한국의 주식자본은 순유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채권자본은 순유입이 점차 증가해 실제 해외채권자본 유출 압력은 크지 않았다. 이런 흐름에 비춰 올 하반기에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해외채권자본 유출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서는 관측했다.김성훈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한국의 통화당국이 미국의 금리변동보다는 국내 경기변화에 초점을 둔 금리정책을 펼칠 여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한경연은 또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산유국보다 비산유국의 이득이 크다고 밝혔다. 한경연 연구결과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미국을 비롯한 호주, 캐나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한 나라의 실질 GDP는 충격 초기 2∼3년간 원래 성장 추세선보다 낮아지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반면 한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터키 등 비산유국들의 실질 GDP는 원래 성장 경로를 상회하는 혜택을 입었다. 김 부연구위원은 "유가가 상승하면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 에너지 사용량이 높은 기존 제품에 대한 교체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며 "이는 에너지 효율적인 신제품 개발을 위한 생산과 투자를 자극해 단기적으로 내수와 수출을 확대시키고 중장기적으로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