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은 2강 1약?…LGU+ 점유율 10%도 안 돼

SKT 망 임대 10개사 가입자 비중 46%KT 망 임대 14개사 가입자 비중 45%LGH+ 망 임대 7개사 가입자 비중 9%이통 3사 계열사 가입자 비중은 22%[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 전체 알뜰폰 가입자 중 LG유플러스의 망을 이용하는 비중은 1%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4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밝힌 알뜰폰 사업자 현황(2015년 4월21일 기준)에 따르면 SK텔레콤의 망을 빌려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는 SK텔링크·유니컴즈 등 10개사, KT는 CJ헬로비전·에넥스텔레콤 등 14개사, LG유플러스는 스페이스네트·머천드 코리아 등 7개사로 고르게 분포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하지만 가입자별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 알뜰폰 가입자 504만1000명 가운데 SKT망 사업자의 가입자 수는 233만5000명, KT망 사업자는 228만3000명, LG유플러스망 사업자는 42만2000명으로, 3사의 가입자 점유율은 4.6대 4.5대 0.9로 나타났다. 3위 사업자인 LG유플러스의 알뜰폰 가입자 비중이 크게 떨어진 것이다. 향후 알뜰폰 가입자 수가 높아질 경우 LG유플러스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2개 이상의 이통사의 망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뜰폰 사업자는 이마트(SKT와 LG유플러스), 홈플러스(KT와 유플러스), 에스원, 프리텔레콤(이상 SKT와 KT) 4개사다. 이 밖에 아이즈비전, 지역 케이블방송 사업자 등 10여개사가 복수거래를 준비하고 있는 등 복수거래가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미래부 관계자는 "복수거래 활성화는 가입자를 직접 모집하는 소매시장뿐만 아니라 알뜰폰 사업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매시장의 중요성을 이통 3사가 인식하고 치열한 가입자(알뜰폰 사업자) 확보 경쟁을 벌인 결과"라며 "시장자율적인 경쟁을 통해 알뜰폰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대기업 계열과 중소 사업자를 나눠 살펴보면 대기업 계열 사업자(10개)의 가입자 수는 290만4000명, 중소 사업자(17개) 213만6000명으로 시장 점유율은 각각 57.6%, 42.4%로 나타났다.

알뜰폰 가입자 수 순위(자료:미래창조과학부)

대기업 계열 사업자 중 이통 3사의 자회사 또는 계열사 가입자 수는 113만명(SK텔링크 81.8만명·KTIS 18.1만명·미디어로그 13만명), 알뜰폰시장 점유율은 22%로 나타났다.17개 중소 사업자 중 2013년 9월 우체국에 입점한 주요 중소 6개사(유니컴즈·아이즈비전·에넥스텔레콤·EG모바일·스페이스네트·머천드코리아)의 가입자 수는 171만7000명으로 중소 사업자의 80.4%, 전체 알뜰폰 가입자의 34%를 차지했다.사업자별 가입자 수 순위를 살펴보면, 대기업 계열인 CJ헬로비전(86.6만명)과 SK텔링크(81.8만명)가 1, 2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3위 이하는 유니컴즈(42.7만명), 아이즈비전(39.7만명), 스페이스네트(프리텔레콤 포함·37.4만명), EG모바일(34.4만명), 에넥스텔레콤(28만명) 등 중소 사업자가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기술방식(2G·3G·LTE)으로 나눠 살펴보면, 3G 서비스 가입자가 417만3000명(82.8%), 2G 29만9000명(5.9%), LTE 56만7000명(11.3%)으로 나타났다. 전체 이동전화시장(3G 24%·2G 10%·LTE 66%)과 달리 아직까지는 LTE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미래부 관계자는 "아직까지 LTE 비중이 낮은 것은 단말기와 서비스를 결합해 판매하는 이통 3사의 시장관행, 알뜰폰은 2G·3G, 피처폰 중심이라는 막연한 인식 등에 기인한 바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알뜰폰시장에서 선불 요금제 가입자는 205만9000명(40.8%), 후불 요금제 가입자는 298만1000명(59.2%)으로, 미래부 출범 직후인 2013년 3월 말(선불 55.5%·후불 44.5%)과 달리 후불 비중이 선불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미래부 관계자는 "이는 대기업 계열 알뜰폰 사업자의 시장진입, 지속적인 도매대가 인하에 따른 경쟁력 제고, 알뜰폰 인식 제고 등으로 이통 3사의 후불 가입자들이 꾸준하게 유입된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