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국의 원자력잠수함 개발현황은

중국의 핵잠수함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미 양국이 원자력협정 개정에 합의하면서 원자력잠수함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 리군도 추가로 건조되는 3000t급 잠수함을 원자력잠수함으로 건조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우리 해군은 지난 2월 여섯 번째로 잠수함사령부를 창설했다. 현재 잠수함사령부를 운영하는 나라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인도뿐이다. 한국은 209급(1200t급) 9척과 214급 4척 등 13척의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지만 2019년까지 214급이 9척으로 늘어나면 잠수함사령부는 18척의 잠수함을 운용하게 된다. 특히 오는 2020년대에 모두 9척이 운용될 3000t급 잠수함이 건조되면 수직발사대(VLS)에서 잠대지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의 비대칭전력이 대폭 개선된다는 의미다.하지만 대양해군을 지양하는 해군전력을 보유하려면 원자력잠수함은 꼭 필요한 전력이다. 바로 이동속도와 장기간의 잠수능력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은 모두 디젤잠수함이다. 디젤잠수함은 시속 6~7노트(12km)로 이동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만 140여일이 걸린다. 중간에 연료와 식품을 몇 차례 공급도 받아야 한다. 이에 비해 원자력잠수함은 다르다. 시간당 평균 20~25노트(40km)로 이동해 지구 한 바퀴를 40여일 만에 돌 수 있다. 물론 40여일 동안 물속에서 식품이나 연료보급을 받지 않아도 된다. 해군도 한때 원자력잠수함 도입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자주국방 의지에 따라 당시 조영길 국방장관은 차기 중형잠수함사업과 원자력잠수함사업을 통합하기도 했다. 2004년에는 해군본부 내부에 원자력 잠수함 사업단이 만들어졌고 획득방안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다. 하지만 이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고 한국 원자력연구소의 우라늄 농축시험 등 문제가 불거지면서 원자력 잠수함 사업은 전면 보류판정을 받고 말았다.

214급(1800t급) 잠수함

이에 비해 주변국들의 상황은 다르다. 한중일 중 중국의 잠수함 전력은 동북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북아권 국가 중에서 최근에 가장 잠수함 전력 확충에 열심인 국가는 중국이다. 핵잠수함 등 70척을 보유한 중국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항공모함 킬러'로 알려진 093G 식(진(晋)급) 최신형 공격형 핵잠수함 3척을 조만간 실전 배치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벌써부터 주변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물방울(teardrop) 모양인 093G 식 핵잠수함은 2세대인 기존의 093 식보다 길이가 길어진 데다 VLS를 장착했으며, 특히 수중속도와 기동성을 높이고 소음을 줄이려고 함미를 X자 모양의 날개 형태로 설계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미국은 이 핵잠수함이 사거리가 8천㎞인 '쥐랑(巨浪)-2'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장착하고 작전에 나서면 미국 본토에 대한 위협이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시했다. 일본도 수중배수량 4200t인 소류급, 4000t인 오야시오급, 3200t의 하루시오급 등 18척의 재래식 잠수함을 22척으로 늘려 중국과 북한의 수중전력에 맞선다는 계획이다. 일본의 잠수함 전력은 수적으로는 중국, 러시아, 북한 등에 뒤지지만, 최고 수준의 소음 능력과 특히 NS 110으로 불리는 잠수함용 특수 강판으로 수심 500m까지 잠행 능력 등을 갖춰 성능 면에서는 동북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이밖에도 인도는 자국에서 생산한 스코르펜 공격 잠수함 1번 함을 진수하고 디젤 잠수함 13척과 러시아로부터 임대한 한 척의 원자력 잠수함을 이미 운용하고 있다. 베트남은 지난 2009년 러시아와 체결한 계약에 따라 모두 6척의 킬로급 공격용 잠수함(636MV) 6척을 도입하기로 했다.이에 따라 베트남은 지금까지 모두 3척을 인도받아 실전 배치했으며, 나머지도 예정대로 인수해 전력화할 계획이다. 태국,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 잠수함을 운용하지 않은 역내 국가들도 신규 발주나 구형 잠수함 도입 등을 통해 잠수함 전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진해사령부에 배치된 해군의 잠수함

이본 소류급 잠수함

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