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인양 확정…유기준 '세월호 인양여론 높아져 여론조사 불필요'

참사 1주기 앞두고 인천서 여객선 안전점검"원양어선 등에 방온조끼 구비 방안 검토 중"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이 세월호 인양여부에 대한 여론이 높아짐에 따라 공론화 과정에서 여론조사가 필요 없어졌다는 뜻을 밝혔다. 사실상 인양으로 방침을 확정했음을 시사한 셈이다.유 장관은 9일 오후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여객선 안전점검을 위해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을 찾은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세월호 선체를)인양하자는 여론이 높아져 (여론조사를)별로 할 필요가 없어진 듯 하다"고 밝혔다.그는 "여론조사를 하겠다고 말한 적은 없고, 공론화 중 여론조사가 합리적이지 않을까라고 말했다"고 설명했다.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기술적으로 가능할 경우 여론을 수렴해 세월호 선체 인양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한 직후 나온 주무부처 장관의 발언이다. 특히 세월호 선체인양 기술검토 결과 중간발표를 불과 며칠 앞둔 시점에서 이 같은 발언은 이미 기술적으로 인양에 대한 무리가 없음을 확인하고 사실상 인양으로 방침을 확정한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앞서 해수부는 세월호 사고 발생 후 최종 사고수습이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정부, 지자체 등의 총 예산액을 5548억원으로 추정하고, 이 가운데 선체 인양에 드는 비용을 총 1200억원으로 추산한 바 있다.유 장관은 향후 안전대책을 추가적으로 보완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그는 "원양어선이나 여객선에 방온조끼를 구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먼 바다에서 사고가 생기면 체온이 떨어져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용이 일반 (구명)조끼보다 비싸기 때문에 자부담과 지원이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여객선 블랙박스 설치와 관련해서는 "여객선 고령화로 현대화가 필요해 표준선형 개발, 영세한 선주 자금지원, 준공영제를 통한 선박의 공공성을 강화하려 한다"며 "블랙박스도 필요한데 국가 보조를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안전관리감독관이 지금 20명으로 출범하고 현재 14명을 선발해 교육중"이라며 "화물, 여객선에 적용하고 있지만 앞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이 장관은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최근 제주, 여수, 인천 등 주요 연안여객터미널을 돌아본 결과 "대체로 잘 운영되고 있다"는 평가도 내놨다. 이날 오후 인천연안여객터미널에 도착한 그는 승선권 자동발매기를 이용해 직접 인천~덕적도 구간 티켓을 구입한 후 170t규모 여객선에 승선, 안전점검과정을 살폈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