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앱]대학생·신혼부부 등 젊은 세대 이용 확산

직방, 누적다운로드 600만명

부동산 중개앱인 직방(오른쪽)과 다방.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요즘 오피스텔 보러 오는 젊은 사람들은 다 애플리케이션 보고 와요."(서울 충정로3가 인근 공인중개사)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해 빠르고 쉽게 원하는 방을 알아볼 수 있는 부동산 중개 앱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직방과 다방, 복방, 방빼 등 현재 시중에는 150여개의 중개 앱이 나와있다. 그야말로 부동산 중개앱 춘추전국시대다.2013년 문을 연 무료 중개 앱 '다방'은 올 들어 이용자 수가 크게 늘었다. 지난 1월 150만건이던 누적 다운로드 수가 한 달 사이 230만건으로 증가했다. 50% 이상 늘어난 셈이다. 최근에는 당사자 간에 직접 사고팔아 중개수수료를 아낄 수 있는 직거래도 전체 물건의 10%가량을 차지했다. 다방을 운영하고 있는 스테이션3의 박성민 이사는 "대학생과 직장인 그리고 신혼부부를 주요 고객으로 하는데 요새 아파트 전세를 구하기 힘들다 보니 오피스텔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에 맞춰 마케팅을 강화한 결과 가입자 수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부동산 중개 앱 서비스를 시작한 직방은 최근 누적 다운로드 수가 600만명을 넘었다. 지난 1년 동안 이용자 수가 500% 증가했다. 현재 직방에 올라온 8만여건의 물건 대부분은 오피스텔과 주택의 원룸, 투룸이며 이용자 평균 연령이 28세로 젊은 것이 특징이다. 직방 관계자는 "중개수수료 할인 등 혜택은 없지만 손쉽게 방 사진을 볼 수 있어 소비자들의 발품을 줄일 수 있다"며 "미리 사진으로 방 내부를 확인하고 가기 때문에 중개사들에 따르면 직방을 통해 집을 보러온 셋 중 한 명은 그날 계약을 한다"고 말했다. 중개앱들은 중개업소로부터 광고비를 받는다. 비용은 건수에 따라 달라진다. 집을 사려는 사람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중개앱 인기에 한국공인중개사협회도 빠르면 내년 초 중개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공인중개업체가 중개앱에 물건을 등록할 때 업체에 광고비를 내는데 이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다. 협회 관계자는 "일정기간 동안 10건을 광고하는데 수십만원의 광고비를 지불한다"며 "협회에서는 회비 이외에는 따로 돈을 받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거래에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이 중개수수료인데 광고비 부담이 줄면 이를 줄일 여지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