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상인 55% '이케아 입점 후 매출 감소'

자료 = 중소기업중앙회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광명지역 중소 상공인 두 명 중 한 명은 가구공룡 '이케아(IKEA)' 입점 이후 평균 30%의 매출감소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6개 관련 업종 중소상공인 200명을 대상으로 '이케아 광명점 개점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실태'를 조사한 결과 55%가 "이케아 입점 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힌 상인들의 평균 매출감소율은 31.1%에 달했다.매출 감소업체 비중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가정용 직물제품 소매업종이 76.8%로 가장 높았으며, 가구소매업종이 71.8%, 식탁·주방용품 소매업종이 71.4%를 기록했다. 이케아가 가구전문점이라는 기존 인식과 달리 침구 등의 직물제품과 주방용품 소매점의 매출 감소비중이 매우 높았다. '이케아의 입점이 광명지역 상권에 도움이 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84%가 '아니오'라고 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복수응답 가능)로는 78.0%가 '매출하락에 따른 경영상황 악화'를, 38.1%가 '지역자본의 역외유출'을 꼽았다. 하지만 많은 상인들이 이케아에 대항할 뚜렷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케아의 사업진출에 따른 대응방안(복수응답 가능)에 대해 80%가 '특별히 없다'고 답했으며, 27%가 '품질향상 및 취급품목 다양화'를, 19.5%가 '가격인하 및 할인혜택 마련'을 꼽았다. 이케아를 의무휴무제 적용대상에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는 83.5%가 '동의한다'고 답했으며, 현행 3㎞인 정부의 상권영향평가범위를 확장해야 한다는 의견도 78.5%에 달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정책개발1본부장은 "이케아의 입점이 가구뿐만 아니라, 직물·생활용품 등 다수의 산업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향후 추가입점할 이케아 점포를 비롯, 국내외 대기업의 신 유통사업 진출에 대해 지역상권 영향을 면밀히 고려한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