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재연 기자] 앞으로 전국 어디에서 재난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육상 30분·해상 1시간 이내에 특수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해 대응하게 된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21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안전처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국민안전처가 21일 내놓은 안전혁신 업무보고는 세월호 이후 일련의 안전사고를 통해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사항들에 대한 개선안이 총 망라된 것이다. '제도·점검·교육·인프라'로 이어지는 안전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는 게 안전처의 방침이다. ◆출동시간단축·국민안전교육 실시=안전처는 우선 세월호 참사 당시 현장 도착이 늦어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특수구조대를 확대개편하기로 했다. 세월호 사고 당시 해경 전문 인력이 있는 122구조대는 사고 2시간 후에 도착했고 부산에 하나 있던 해경특수구조단은 진도에 사고 4시간 후 도착했다. 앞으로 수도권과 영남권에 설치된 119특수구조대 충청·강원권과 호남권까지 확대되며 동해·서해해양구조대 등 해양특수구조단도 설치된다. 권역별 특수구조단 설치로 육·해상 전역 1시간 내 대응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안전처는 국민 연령별로 생애주기별 맞춤교육을 실시하고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안전교육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모든 재난 현장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재난현장 표준 대응모델도 개발될 예정이다. 그동안 소규모 체험시설 위주로 분산 운영됐다는 비판을 받았던 안전체험관이 시·도당 각각 1개씩 설치된다. 영·유아, 청소년기, 청·장년기, 노년기 등 연령대별로 적합한 안전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초중고생에게는 교육 과정 내 안전교육 실시를 의무화할 예정이다. ◆재난 현장 표준모델 구축·인프라 확충=판교 환풍구 붕괴사고 등 재난이 복잡·다양·대형화 됨에 따라 모든 재난에 적용 가능한 모듈형 현장대응 표준모델도 개발된다.재난발생 초기부터 재난발생 후까지 재난조직·지자체에 이르는 네트워크와 프로세스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안전처는 이밖에 재난·안전관리 인프라 대폭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수색·구조 등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무인로봇과 개인방호 스마트 장비, 안전사고 예방 및 상황관리에 필요한 고성능 센서 및 GIS 기술 등을 R&D 사업으로 개발한다. 김재연 기자 ukebida@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김재연 기자 ukebid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