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어제 '농업 대토론회'를 열면서 낸 보도자료의 제목이다. 농업이 처한 어려운 현실을 역설적으로 웅변하는 구호다. 농업의 위기를 기회로 살려내자는 취지로 마련된 이날 행사를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것도 마찬가지다. 농업은 엄중한 도전에 직면했다. 내년부터 쌀의 관세화가 이루어진다. 한미, 한ㆍ캐나다에 이어 한중, 한ㆍ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타결돼 농축산 강국들과의 전면적인 개방화 시대에 들어선다. 중국과는 쌀을 비롯한 농축산물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했다지만, 농업도 이제 개방화의 거센 물결을 외면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이에 대응하는 우리의 농촌 현실은 어떤가. 고령화가 심각하고 도시와의 소득격차는 갈수록 벌어진다. 반복되는 배추ㆍ한우 파동에서 보듯 과학적인 영농이나 유통은 아직 멀었다. 농업이 그대로 추락하느냐, 위기를 헤치고 돌파구를 찾느냐의 기로에 섰다. 농업의 경쟁력을 높여 수출산업으로 키우고 농가소득을 증대해 농촌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게 된다면 농업은 분명 미래성장산업이다. 박 대통령은 세 가지 해법을 제시했다. 첨단 기술과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결합이 첫 번째다. 농업에 생명공학, 정보통신기술(ITC) 등을 결합해 과학화를 이루자는 것이다. FTA 등을 활용한 수출산업화와 가공ㆍ유통ㆍ판매ㆍ관광 등 2차, 3차 산업을 융복합화한 6차 산업화 방안도 내놨다. 네델란드의 단위 면적당 토마토 생산량은 우리나라의 갑절에 이른다. 선진국 양돈농가의 어미돼지는 한 해 평균 새끼돼지 25마리를 출하하지만 한국은 17마리 수준에 그친다. 농업의 과학화가 곧 경쟁력인 시대다. 우리 농촌도 젊은 농업인이나 귀농인들이 창의적 아이디어로 신제품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펼치는 등 성공 사례가 적지 않다. 고품질의 농산물 가공식품이라면 시장은 넓다. 인구 14억명의 거대시장 중국이 바로 옆이다. 하지만 농업인만의 노력만으로는 농업의 6차 산업화도, 해외시장 개척도 어렵다. 기업의 자본과 기술, 해외시장의 네트워크와 결합할 때 길이 열린다. 개방화 시대를 농업 도약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농업인이 함께 고민하고 힘을 모아야 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