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ESS 맞춤형 전기요금 내년 도입

현행 요금보다 낮춰 투자 유도피크시간 전력수요 감소 효과[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맞춤형 전기요금을 내년 1월1일부터 도입한다. 현행 전기요금보다 가격을 낮춰 투자를 유도해 에너지 분야에서 신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ESS 대중화를 앞당긴다는 복안이다.2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 등에 따르면 전력 당국은 이 같은 내용을 기본으로 현행 전기요금제도에 ESS 요금제를 추가하는 설계 작업에 최근 착수했다. '대형 배터리'인 ESS는 그동안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역할로만 사용돼 왔다. 미국이나 유럽 등에서는 전력망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단지에 설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쓰였다.정부는 그러나 ESS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값싼 심야 전기를 저장장치에 저장했다가 낮(피크시간) 시간대 사용해 전기요금을 절감하거나 전력 공급업체에 재판매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피크시간대 전력수요도 줄일 수 있어 일거양득이다. 일반·산업용과는 별도로 맞춤형 요금제를 신설하는 이유다.최근 대기업들도 ESS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6월 LG화학은 익산공장에 세계 최대 규모인 3㎿급 ESS를 설치했다. 최근 착공한 LG사이언스파크도 ESS가 설치돼 가격이 저렴한 심야전기 등을 저장했다가 냉난방에 활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포스코, 현대차 등 11개 기업이 55㎿ 규모 ESS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정부는 특히 ESS 전기요금을 현행 전기요금보다 저렴하게 책정하면 사용자의 초기 투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ESS 투자 시 최대 걸림돌은 가격이다. 1㎿ 규모를 설치할 경우 배터리 가격만 최소 10억원 선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관리시스템이나 전력망 구축에 추가로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도 부담이다.ESS 전기요금 수준은 전기차 충전 전기요금과 유사하게 책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정부는 전기차 대중화를 위해 책정한 전기차 충전요금은 여름철의 경우 최대부하시간 요금이 심야시간(경부하) 요금보다 4배 이상 비싸다. 일반, 산업용 전기요금이 경부하와 최대부하시간 전기요금이 평균 2~3배 차이 난다는 점을 고려할 때 ESS 전기요금도 경부하시간 요금을 낮추고 대신 최대부하시간 요금을 올려 가격 차이를 둘 것으로 보인다.다만 대기업 위주로 ESS 투자가 이뤄지다 보니 전기요금 인하효과가 대기업에 쏠릴 수밖에 없다는 점 때문에 최대한 형평성을 고려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ESS 투자비용이나 전기요금 인하효과, 재판매 가격 등을 고려해 요금 체계를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