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 피해보상, 조정위 설립 앞두고 힘겨루기

반올림-가족위 의견충돌 지속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 백혈병 문제 협상을 두고, 반올림(반도체노동자의건강과인권지킴이)과 반올림 협상단에서 빠진 가족대책위원회(가족위) 간 힘겨루기가 진행되고 있다. 가족위와 삼성전자가 신속한 피해보상·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위해 설치하기로 한 '조정위원회(조정위)'가 이르면 이번주 설치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반올림과 가족위는 조정위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 가족위는 삼성일반노조 등의 힘을 얻어 조정위 설치가 옳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반면, 반올림은 삼성 사업장에서 일하다 병을 얻은 다른 37명의 지지를 받았다. 조정위 설립을 먼저 제안한 가족위에게는 삼성일반노조가 힘을 보탰다. 지난 17일 김성환 삼성일반노조 위원장은 포털 다음의 반올림 카페에 게재한 입장문을 통해 "삼성전자 반도체 백혈병 문제는 반올림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며 "일방적인 주장과 이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제단체가 가족들이 제안한 조정위원회를 폄하하고 매도하는 모습은 스스로의 얼굴에 침을 뱉는 어리석은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반올림은 지금이라도 가족위의 제안으로 구성된 조정위원회에 참여, 설립취지에 맞게 피해가족과 유족들을 지원해야 한다"며 "시민단체 역시 유족 8명 중 왜 6명이 별도로 가대위를 만들고 조정위원회 구성을 제안했는지 가대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족위는 반올림과 7년 이상 함께 삼성전자와 협상을 진행한 피해자 6명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반올림과 삼성전자의 지지부진한 협상을 두고 볼 수 없다며 별도로 위원회를 구성, 삼성전자와 협상을 진행했고 빠른 협상을 위한 조정위 설립을 제안했다. 그러나 반올림은 조정위 설립에 반대하고 있다. 반올림은 조정위를 두고 '삼성의 책임 회피 방편', 조정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지형 전 대법관에게는 '삼성의 도구로 쓰이는 것이 안타깝다'고 비난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협상을 미루며 내부의 분열을 가져왔고, 조정위는 책임 회피를 위한 것일 뿐이라는 주장이다. 이런 반올림에게는 삼성 사업장에서 직업병을 얻은 37명이 힘을 보탰다. 전일 삼성 직업병 피해자 가족 37명은 다음 카페를 통해 반올림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이미 산재신청을 했거나 할 예정인 피해자 가족들이 동참했다. 반올림 의견을 지지한다는 이들은 "삼성은 마음이 담긴 사과를 하고 함부로 보상에서 배제하지 말라"며 "교섭장에 직접 나온 사람들부터 보상하겠다는 근거가 없고, 삼성은 산재 신청을 했다는 이유가 아니라, 삼성에서 일하다 병에 걸린 것 때문에 보상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또 "특정 질병이 아니라는 이유, 직영 직원이 아니라는 이유, 특정 업무, 특정 시기에 근무한 게 아니라는 이유로 함부로 보상에서 배제하지 말라"고 요구했다.이들은 공장에 보관하거나 사용하는 화학물질 정보, 정부기관이나 외부에서 공장을 조사한 내용 등을 공개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재발방지대책에 대해서는 반올림이 내놓은 '삼성 공장의 안전보건상태 종합진단', '외부감사제도 마련' 등의 내용에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37명의 지지는 현재 2명의 교섭단만 남은 반올림으로서는 반가울 수밖에 없다. 당초 업계에서는 산업재해 신청자가 반올림 교섭단에 합류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그러나 공유정옥 반올림 간사는 "의견이 엇갈리는 현 상황에서 교섭단 숫자를 불리는 것이 중요한 점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세력 싸움을 위해 교섭단을 늘리는 일은 할 생각이 없다는 뜻이다. 한편, 가족위와 삼성전자측은 반올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조정위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위원장으로 추대된 김지형 전 대법관은 곧 2명의 조정위원을 선임할 예정이다. 1명은 전문성을 갖춘 인사를 선임하고 다른 1명은 사회활동가를 선임할 계획이다.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