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조용한 해안도시가 '印尼의 포항'으로 변신

포스코 첫 해외 일관제철소 크라카타우포스코를 가다첫 도전, 시행착오도 많아…안정적인 원자재 공급, 국내 생산품보다 싸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 고로에서 쇳물이 나오고 있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올 1월 고로의 일부 파손으로 일주일간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집에 들어가지 못했다. 이후에도 수개월간 밤잠을 못자고 정상 가동에 매진했다.”포스코의 해외 첫 일관제철소인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의 민경준 법인장은 당시를 회고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지난해 12월 완공 후 루머와 오해로 그간 마음고생이 심한 듯 했다.민 법인장은 “인도네시아에서 대형 프로젝트들이 공정대로 완공된 것은 포스코가 처음일 정도로 인정을 받고 있다”며 “당시 예기치 못한 사고로 가동이 중단됐을 때는 항간의 오해로 힘들었지만 지금은 상업화로 새로운 성공신화를 써가고 있다”고 말했다.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는 포스코가 해외에 처음으로 건설한 일관제철소인 만큼 우여곡절이 많았다. 착공부터 초기 가동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시행착오가 있었던 것이다.박형근 크라카타우포스코 건설부장은 “워낙에 철이 부족한 나라라, 제철소 공사 부지에 놓아둔 철근이 다음 날 감쪽같이 사라지는 일도 있었고, 무더운 날씨와 느긋한 현지인들을 독려해 공기를 맞추는 일도 쉽지 않았다”며 건설 당시를 회상했다. 더욱이 지난 1월에는 첫 가동에 들어간 고로의 하부가 일부 파손돼 7일 동안 가동을 멈추는 사고도 있었다.하지만 지금은 정상궤도에 올라섰다. 15일 방문한 크라카타우 제철소는 쉴 새 없이 바쁘게 돌아가고 있었다. 용광로에서는 매일 8300t의 뜨거운 쇳물이 뽑아져 나오고, 압연 공정에서 매일 3400t의 후판이 생산되고 있다. 지난해 말 고로에 불을 붙인 지 만 5개월 만에 제선, 제강, 압연 모든 공정에서 정상조업도가 달성됐다. 이미 이곳에서 생산되는 슬라브나 후판은 광양과 포항 제철소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민중기 생산담당 본부장은 “이곳에서 생산되는 철강 제품들은 포항과 비교해서 t 당 2달러, 광양과 비교해도 10달러 이상 싸는 등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말했다.지난 8월에는 가동 후 최초로 슬라브와 후판 판매량이 월 목표량인 20만t을 넘어섰다. 슬라브 제품의 경우 크라카타우스틸과 구나완(Gunawan)과 같은 인도네시아 현지 철강사들이 주로 사간다. 품질이 좋은 슬라브를 집어넣어야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이 나와 크라카타우포스코의 슬라브는 인기가 좋다. 여기서 생산되는 철강제품들은 동남아 인근에서 모두 소화가 가능하다는 얘기다.이는 크라카타우 포스코에서 생산되는 철강 제품들이 가격·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 법인장은 “원가절감의 70% 이상은 철광석과 석탄, 석회석 등 원료에 달려있는데, 이곳에서 원재료 공급이 수월하다”며 “저가원료 사용과 함께 조업기술 개발이 중요한 만큼 제강공정에서 합금철이나 여러 첨가물을 줄이는 기술력도 원가절감을 실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세계적 중공업 업체 캐터필라(Caterpillar)의 데니스 쿤카 글로벌 통합구매 책임자는 “크라카타우포스코 후판의 품질이 매우 만족스러워서, 빠르게 품질 안정화를 이뤄낸 포스코의 저력에 놀랐다”며 포스코 본사와 마찬가지로 대응이 매우 빠르고 정확해서 앞으로의 비즈니스가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포스코는 모든 시행착오를 극복하고 제철소를 정상 가동의 궤도에 올리면서 인도네시아 철강 역사에 한 획을 긋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크라카타우포스코는 한국의 발전된 철강 기술력을 해외에서 실현시킨 첫 사례다. 46년 전 조용한 바닷가였던 포항 영일만에 제철소 신화를 세운 포스코는 46년이 흐른 지금, 인도네시아의 조용한 해안도시인 찔레곤에서 그 신화를 재현했다.실제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서쪽으로 100㎞ 떨어진 자바섬의 조용한 해안 도시였던 찔레곤은 지금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뜨거운 철강도시로 변모했다. 포스코가 제철소를 설립한 후 이곳은 ‘인니의 포항, 광양’이라는 닉네임을 얻었다.이와 관련, 이만 아리야디 찔레곤 시장은 “포스코가 이곳에 와서 정말 칠레곤 경제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며 “고용 창출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크며 찔레곤 시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사람이 많이 들어와 도시가 전보다 많이 활발해졌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포스코 진출 후 한국뿐 아니라 독일, 일본 등 해외 기업들이 많이 들어온다”며 “포스코 아닌 다른 한국 기업으로는 롯데케미칼이 이곳에 크게 투자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찔레곤(인도네시아)=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