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는 군내에서 군납담배 보급이 중단됐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정부가 담뱃값 인상안을 발표하면서 군장병들도 술렁이고 있다. 면세담배를 보급하고 담뱃값을 지원했던 과거와 달리 일반인들과 똑같은 가격으로 담배를 사야하기 때문에 10만원 안팎의 봉급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군에서는 담배를 무료로 나눠주던 시절도 있었다. 최초의 군용담배는 1949년 처음 보급된 '화랑'이다. 필터가 없는 담배로 화랑은 1981년 자취를 감추기 까지 무려 32년간 군인들과 '생사고락'을 함께 했다. 1981년까지 지급되던 화랑담배는 이후 '은하수', '한산도'를 거쳐 1989년엔 '백자', 90년부터는 대중적인 담배인 '88라이트'로 바뀌었다.그러나 장병들의 건강을 위해 연초 보급이 해마다 줄어들어 2005년까지 1인당 15갑까지 살 수 있던 연초가 2006년 10갑, 2007년과 2008년에는 5갑까지 줄어들었다. 2010년부터는 군내에서 군납담배 보급이 중단됐다. 군장병이 담배를 피우려면 일반인과 똑같은 가격으로 담배를 사야한다는 것이다. 군납담배가 줄자 흡연율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군내 매점에서 판매하는 담배판매량도 줄어들었다. 담배 판매량은 2009년 상반기 기준 상반기 중 2074만여 갑이다. 전년도 상반기 2520만여 갑에 비해 18% 감소했다. 군장병들의 흡연율이 줄어든 것은 각 군의 금연정책도 한몫했다. 군장병들의 금연정책에 가장 앞장선 군은 공군이다. 공군은 작년부터 주임원사 대상 금연지도자 과정 교육을 연 1회 운영하고 있다. 또 부대 전 지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흡연을 하는 장병들은 부대에 마련된 흡연구역에서만 담배를 피울 수 있게 했다. 부대내 흡연 구역도 건물에서 최소 50m 이상 떨어진 야외 구역에 설치토록 했다.이런 노력으로 공군은 지난해 7월부터 금연정책을 강력히 추진해 2012년 32.8%였던 흡연율을 2013년 말에 19.3%까지 낮췄다.특히 지난해 성일환 전 공군참모총장은 조종사 선발과정에서 니코틴이 검출되면 비행훈련에도 참가시키지 않기로 하는 초강력 금연정책도 추진했다. 하지만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기본권 침해는 위법사항'이라고 금연정책을 재검토를 지시해 철회되기도 했다. 해군과 육군도 부대별로 금연정책을 추진중이다. 해군의 경우 장병들이 금연을 선언하고 부대내 의료시설에서 진료를 받은후 일정기간 금연에 성공하면 포상휴가를 보내준다. 육군 26사단도 지역 보건소와 함께 금연운동을 펼치고 있다. 부대내 희망자에 한해 보건소에서 일산화탄소 측정, 금단 증상 상담 및 금연 상태 확인, 금연침 시술 및 패치부착 등의 서비스를 실시한다. 부대는 매달 첫째 주 수요일 월 단위 추진현황을 제대별 군의관이 파악해 의무 간부의 추적관리를 통한 금연 성공률을 높일 계획이다. 또 금연 희망자에게는 금연 배지를 달아줘 스스로에게 동기를 부여하게 하고 3개월 성공 시 기념선물 증정, 6개월 성공 시 부대장 표창과 포상휴가라는 당근이 주어진다.지난해 기준 군장병들의 흡연율은 42.9%. 군 당국은 담뱃값인상과 금연정책으로 군장병의 흡연율은 해마다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면세담배 보급과 담뱃값 보조금이 중단된 이후에 군장병들의 흡연율은 떨어지고 있다"면서 "담배를 배워가는 군대가 아닌 담배를 끊어가는 군대가 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담뱃갑에 흡연 위험을 알리는 폐암 사진 등 경고 그림 부착을 의무화하고, 홍보·판촉 목적의 소매점 내 담배 광고는 물론 담배 회사의 후원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 담뱃값 인상을 통해 연간 약 8800억원 수입이 증가하는 건강증진부담금으로 금연 치료비를 건강보험에서 부담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