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軍사고 크게 실망, 지위고하 막론 문책'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올해 군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사고를 보면서 크게 실망했다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그 이상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박 대통령은 13일 오후 국방부에서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자녀를 군에 보낸 부모와 가족들은 군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으며 그 불신을 신뢰와 믿음으로 바꿔 놓아야 할 무거운 책임이 군 지휘관에게 있다는 것을 통감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동부 전선 GOP(일반전초) 총기사고와 뒤늦게 밝혀진 윤일병 사건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사건으로 군 선임병이 직위를 이용해 부하를 괴롭히고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은 근본적 의식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이 전군 주요지휘관을 소집한 것은 지난달 16일에 이어 두 번째다. 한 달도 안 돼 전군 지휘관을 소집한 것은 충격적인 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 등으로 적나라하게 드러난 군내 반인권적 병영문화의 근절 등 적폐 해소를 주문하기 위한 '군기잡기'의 차원으로 풀이된다.박 대통령은 "젊은이들이 자랑스러운 국방의무를 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은 지휘관에게 부여된 가장 중요한 사명이자 책임"이라며 "나라를 위해 병역의 의무를 택한 젊은이 가슴에 피멍이 들지 않고 용기와 사기가 꺾이지 않도록 할 의무가 여러분에게 있다. 이순신 장군이 적과의 전투에서 맨 앞에 선두에 서서 부하에게 희망과 용기를 줬듯 여러분도 그런 지휘관이 돼 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뿌리 깊은 적폐를 국가혁신, 국방혁신 차원에서 바로잡아야 한다"며 "앞으로 군은 개방적인 태도로 사회와 연계해 병영문화 혁신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 시대 변화에 대한 추세와 장병의식 등을 종합 검토해 새 병영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특히 박 대통령은 "영상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부사관 등 초급지휘관들이 병사들과 더 많이 생활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바란다"며 "입대한 청년들이 사회와 단절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회와 서신교류, 외출, 외박, 휴가제도 등의 개선방법도 찾아달라"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군에 대해 "각 부대 지휘관들의 노력과 젊음을 바쳐 의무복무를 하고 있는 병사들의 헌신이 있기 때문에 우리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군 최고통수권자로서 군을 깊게 신뢰할 것이며 군은 추호의 흔들림도 없이 경계 및 작전태세에 만전을 기하면서 임무를 완수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