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른다"는 그 말이 위안부를 두번 죽이는 일아베 정권의 '고노 담화 재검증' 62%가 몰라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행동, 대부분 찬성
故 김순덕 할머니의 1995년 작품 '끌려감' 중 일부분.(그림제공=나눔의집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 주상돈 기자, 김민영 기자, 김보경 기자] 우리 국민 대부분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본지가 모바일 리서치업체 오픈세베이에 의뢰해 지난달 31일 전국의 10대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위안부'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1.9%가 '잘 알고 있다(38.5%)'거나 '매우 잘 알고 있다(13.4%)'고 답했다. 위안부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와 '전혀 모르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5.6%, 0.6%로 극소수에 불과했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이들의 대부분은 '위안부' 문제를 '학교 교육(48.1%)'과 '방송 및 기사를 통해(43.5%)' 알게 됐다고 답했다. 지인이나 관련 서적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인지한 사람은 6%에 그쳤다.하지만 응답자들에게 '위안부'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묻자 정확한 답을 고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중 현재 생존자가 몇 명이냐고 묻는 문항에 54명이라고 정확하게 답한 응답자는 36%에 그쳤다. 생존 피해자의 정확한 수를 알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982명과 629명, 237명, 54명, 15명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응답자의 7.5%는 982명이라고 답했고 10.5%는 629명, 15.1%는 237명, 30.9%는 15명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스스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잘 알고 있지 못한 셈이다.<그래프 참조>더불어 많은 사람들은 일제 식민지 시절 겪은 다른 피해자들과 혼동하기도 했다. '위안부'를 강제 노동에 동원됐던 사람들을 뜻하는 '근로정신대'와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63.4%는 '위안부'와 '근로정신대'가 다르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일부 응답자들은 '위안부'를 '종군위안부'와 '정신대'로 혼동하고 있었다. 종군위안부는 피해자들이 스스로 일본군을 따라갔다는 의미로 위안부의 강제성을 감추는 용어다. 또 정신대는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 부대'라는 뜻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각종 노동인력으로 징발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여성만이 아닌 남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안부' 문제가 한국 사회에서 처음으로 부각되기 시작할 때 '정신대'라고 지칭하기도 했었다.이번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고노담화'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다고 했으나 최근 일본 정부의 고노담화 검증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3년 8월 일본 정부가 '위안부'에 대한 일본군의 강제성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고노담화에 대해선 응답자의 53.5%가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50대의 71%가 '들어봤다'고 답했지만 10대 이하는 24%만 인지하고 있었다. 이외에 20대 37.5%, 30대 51%, 40대 64%, 60대 이상 64% 등 연령대가 높을수록 고노담화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하지만 최근 일본 아베 정권이 발표한 '고노담화 재검증 보고서'에 대해선 62.1%가 모르고 있었다. 특히 10대 응답자의 84%는 이에 대해 '깜깜이'였다. 이어 20대 75%, 30대 67.5%, 40대 55.5%, 50대 45%, 60대 이상 51%가 일본 정부의 고노담화 재검증 보고서에 대해 알지 못했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반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를 원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적인 노력을 할 의향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55.4%는 '돕고 싶고 시간도 있지만 방법을 모른다'고 답했다. 특히 10대 이하 여성(72%)에서 높게 나왔다. 또 전체의 39.1%는 '돕고 싶지만 시간을 내기 어렵다'고 응답했고 3.6%는 '이미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피해 사실 증언에 대해선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48.3%는 '자신의 할머니 혹은 어머니가 위안부 피해자라면 피해 사실을 증언하도록 권유하겠다'고 답했다. '적극적으로 권유하겠다'는 응답자도 40.3%로 나타났다. 위안부 피해자가 자기 자신인 경우에도 피해사실을 밝히고 공개증언을 하겠다는 응답이 85% 이상을 차지했다.응답자들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외교적인 노력이 절실한데 한국 정부의 노력에는 낙제점을 줬다. 응답자의 38.3%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한국 정부의 외교적인 노력을 꼽았다. 그러나 정부의 외교적 노력에 대한 시민들의 평가는 10점 만점에 3.1점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21.6%는 정부 노력에 '0점'을 줬고 1점과 2점을 준 응답자도 각각 11.2%, 11%였다. 반면 1.5%만 10점 만점을 줬고 9점, 8점 이상을 준 응답자도 각각 0.5%, 2.2%에 불과했다.또 응답자들은 정부의 외교적 노력 외에도 ▲위안부 실상에 대한 연구 및 증언 채록 등 관련 기록 확보(26.2%)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20.5%) ▲일본군 위안부 실상에 대한 교육 강화(8.6%)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한편 시민들의 절반 이상(53.9%)은 일본군 '위안부'를 지칭하는 용어로 '강제 성노예(enforced sex slaves)'가 바람직하다고 봤다. 용어에서부터 강제성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명칭이 적합하다고 본 것인데 이는 유엔의 인식과도 통한다. 지난달 유엔 시민적ㆍ정치적 권리위원회는 '위안부'라고 우회적으로 부르는 대신 '강제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게 적절하다고 권고한 바 있다.이어 응답자들의 16.9%는 일본군 '위안부'로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위안부'라는 용어는 '안락ㆍ편안(comfort)'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기 적절하진 않다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위안부'로 불리는 것에 익숙하고 '성노예'로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 또 '위안부'라는 제도 존재의 명확성을 상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관련 단체 및 연구자들의 대부분은 일본군이 사용했던 '위안부'라는 단어와 구분하기 위해 작은따옴표를 붙여 쓰고 있다.한국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쓰고 있다. 정부는 1993년 대통령령으로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 시행령'을 제정한 뒤 개정을 통해 현재는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을 통해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다.이번 설문조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시간 설문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20, 30, 40, 50대의 응답자 수를 각각 200명으로 10대와 60대는 각각 100명으로 구성했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0%포인트다.◈기획 시리즈 진행 중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1명이 공식 인정돼 시리즈 제목을 '위안부 보고서 54'에서 '위안부 보고서 55'로 바꿉니다.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주상돈 기자 don@asiae.co.kr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획취재팀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기획취재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기획취재팀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기획취재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