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일병 사망사건을 현장검증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육군 28사단 윤모 일병 사망사건을 두고 진실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윤 일병 사건의 진상을 처음 폭로한 군인권센터가 군당국의 수사 축소은폐 등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면서 국방부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군인권센터가 제기한 의혹은 ▲사망원인 ▲사망시점 ▲군 당국의 유족 현장검증 배제 ▲헌병대와 군 검찰의 수사 축소ㆍ은폐 ▲핵심 증인 채택 누락 등 5가지다. 군인권센터는 군당국이 윤 일병의 사망원인을 '기도폐쇄에 의한 뇌손상'으로 규정하자 "집단구타로 뇌진탕"이라고 반박했다. 군인권센터는 "사건당일 윤 일병은 주범 이모 병장에게 머리를 수차례 맞은 뒤 물을 마시게 해달라고 애원했고 물을 마시러 가다가 주저앉아 오줌을 싼 후 의식을 잃었다"며 "뇌진탕으로 부르는 '경증 외상성 뇌손상'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사망시점도 다른다. 당초 군당국은 "(호흡과 맥박이 회복된) 양주병원으로 이송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군인권센터는 "윤일병은 이전 연천군 보건의료원에 왔을 때부터 호흡과 맥박이 없는 상태인 DOA상태였다"고 말했다. 유가족을 현장검증에서 제외한 것도 논란이다. 유가족은 현장검증 참여를 강하게 주장했지만 군의 현장검증 계획 문건에는 유족참여 자체가 없었다는 것이 군인권센터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윤일병 장례식에서 유족에게 현장검증 참여여부를 물어봤지만 유족들은 '모두 현장에 갈 필요가 있느냐'며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국방부의 수사축소와 은폐의혹도 불거졌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가해자들이 윤 일병의 체크카드인 '나라사랑카드'를 받았다는 사실도 공소사실에 제외됐다. 공범 하모 병장은 이 병장이 윤 일병으로부터 카드를 받았다고 진술했다. 군인권센터는 입수한 사건공소장을 토대로 "헌병대와 군검찰은 카드 사용내역을 수사하지도 않았고 윤 일병 소속부대의 지휘책임자인 본부포대장 김모 대위 등에 대한 수사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보강수사를 통해 사실로 확인되면 공소사실에 추가하겠다"고 했다. 핵심증인채택 누락도 논란이 되고 있다. 군인권센터는 윤 일병 가족이 다섯 번의 헌병대 수사보고가 있을 때마다 "목격자인 김 일병이 모든 것을 알고 있을 것"이라며 접촉을 시도했지만 묵살당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국방부는 "김 일병은 사건이 발생한 의무지원반에 입원했던 목격자인데, 군검찰에서 재판에 출석시키려고 노력했지만 김 일병이 천식으로 조기 전역한 상태였고 부모가 출석을 거부했다"고 알렸다. 2005년 만들어진 인권운동 시민단체인 군인권센터는 올해 초에도 직속상관에게 지속적인 성추행과 가혹행위를 당하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15사단 고(故) 오혜란 대위를 순직으로 인정받게 한 결정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