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예상 못한 의외의 결과였다. 새누리당이 '7ㆍ30 국회의원 재ㆍ보궐선거'에서 압승했다. 전국 15곳 중 11곳에서 승리했다. 서울 동작을을 비롯해 수도권 6곳 중 5곳에서 이겼으며 충청지역 3곳도 휩쓸었다. 야당 텃밭인 호남에서도 소중한 1석을 건졌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호남 3곳과 수원정 등 4곳에서 승리하는 데 그쳤다. 민심은 야당의 '세월호 심판론'보다 여당의 '국가 혁신과 경제 활성화'에 표를 줬다. 가장 큰 이변은 이정현 새누리당 후보가 전남 순천ㆍ곡성에서 당선된 일이다. 그것도 49.4% 대 40.3%로 압도적인 표차였다. 새누리당이 전신인 민자당 시절까지 통틀어 호남에서 국회의원 당선인를 배출한 건 1996년 15대 총선(강현욱 전 의원 군산을 당선) 이후 18년 만이다. 오랜 지역주의의 벽을 허물었다는 점에서 선거 역사를 다시 썼다고 평가할 만하다. 대권후보로 꼽히는 손학규, 김두관, 임태희 후보 등 거물들이 줄줄이 정치신인들에게 무릎을 꿇은 것도 이변이라면 이변이다. 박근혜정부의 잇단 실정에도 야당이 참패한 것은 자업자득이다. 무리한 전략공천에 국민은 실망했다. 새정치는커녕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아냥이 쏟아졌다. 야권 연대도 나눠먹기로 비쳐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기보다 세월호 심판론에만 매달렸다는 지적도 아프다. 정치 공세로 일관하며 민생 및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처리는 소홀히 했다는 비판이 컸다. 정부와 새누리당이 잘해서 유권자들이 표를 더 많이 준 것은 아니다. 위기의식을 느낀 고정 지지층의 결집, 장기화하고 있는 경제 침체와 민생회복에 대한 기대, 야당의 자충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선거 결과를 놓고 정부 여당의 무능에 면죄부를 준 것으로 오판하거나 자만에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부터 2016년 4월 총선 때까지는 전국 단위의 선거가 없다. 민심을 수습하고 국정을 안정시킬 좋은 기회다. 당ㆍ정ㆍ청이 적절한 수준의 긴장과 공조체제로 국가 혁신과 경제 살리기에 매진하길 바란다. 새정치연합은 김한길ㆍ안철수 공동 대표가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이 대안세력으로서의 미래를 기약하기 위해서는 존폐의 기로에 섰다는 위기감을 갖고 변화와 혁신으로 환골탈태해야 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