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절반, 걸어서 10분 내 공공체육시설 이용 못 한다

서울시 빅데이터·공간자료 융합 한 '서울 정책지도' 공개

▲서울시가 28일 공개한 공공체육시설 관련 정책지도. 좌측 상단은 시설위치도, 우측 상단은 도보접근권역도, 좌측 하단은 향유도, 우측 하단은 수요예측도를 시각화 했다.(사진제공=서울시)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서울시민 가운데 절반 이상이 10분 내에 걸어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서울시는 걸어서 10분 거리에 각종 공공시설을 확충하는 '10분 동네 프로젝트'를 주제로 '서울 정책지도'를 만든 결과, 시 거주 인구 중 절반 이상이 10분 내에 걸어서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8일 밝혔다.'서울 정책지도'는 시의 공간정보와 빅데이터를 융합해 만든 자료다. 시가 보유한 기초 행정데이터와 GIS기법(지리정보시스템)을 결합해 세밀한 분석 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를 지도 위에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이번 10분 동네 프로젝트와 관련한 정책지도를 제작하면서 시는 ▲연령 별 인구밀집도 ▲도보접근권역도 ▲향유도 ▲수요예측도 등도 산출해 공공시설 확충에 이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정책지도 분석 결과 걸어서 10분 이내에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시민은 총 514만8158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5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분 내 도보로 이용 가능한 인구가 1인당 적정한 면적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향유도' 조사에서도 1인당 기준 면적 대비 80%미만인 인구 수가 46%(463만3815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어린이집·노인복지시설의 도보접근불가 인구가 1~14% 수준이고, 향유도에서도 기준 면적 대비 80% 미만인 인구수가 각각 1%에 그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많은 시민들이 부족한 시설에서 불편하게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셈이다.도서관·공원의 경우는 10분 이내 도보접근가능 인구가 각각 95%, 99%로 나타났지만, 정작 향유도는 각각 55%, 51%인 것으로 조사돼 인구대비 적정 수준의 시설 규모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이번 정책지도 조사결과는 공공시설을 설립할 때 유용한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로 분석 결과 공공체육시설의 경우 강서구 화곡1동 등 12개구 18개 동에, 도서관의 경우 광진구 구의동 일대 등 13개구 22개동 등에 우선적으로 설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시는 올해 연말까지 ▲안전 ▲복지 ▲문화 ▲소통 ▲경제 ▲환경 등 6개 분야 180여종의 정책지도를 제작해 공개 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향후 정책지도는 시정 방향을 가늠하는 기준자료·평가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김경서 시 정보기획단장은 "서울 정책지도는 고도의, 세밀한 현미경 행정을 가능케 하는 토대로서, 꼭 필요한 곳에 맞춤형 정책을 펼 수 있게 돼 시민 체감도와 만족도를 높임은 물론 예산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된다"며 "다양한 분야의 정책지도를 개발해 행정의사 결정에 반영하고 시민들도 활용 가능하도록 공개 하겠다"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