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면 돌파'택했던 與 '文, 포기하는 게…'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최은석 기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역사관 논란을 정면 돌파하겠다던 새누리당의 기류 변화에는 친박(친박근혜)계 좌장이자 유력 차기 당권주자인 서청원 의원의 공개 반대가 결정적이었다. 당내에서는 "사실상 사형 선고가 내려진 것"이란 반응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아시아를 순방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임명동의안 재가를 미루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문창극 카드'를 버릴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치달았다.서 의원은 17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문 후보자에 반대 입장을 표명한 데 이어 18일 전날보다 더 직설적 표현으로 문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서 의원마저 문 후보자의 사퇴를 강력하게 요구한 것은 부정적인 여론 압박을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유력 당권주자인 김무성 의원도 이날 "대통령과 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본인의 결단이 필요하다"며 사실상 문 후보자에 대한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총리 인준표결시 당론투표에 반대한다는 입장까지 밝혔다.차기 당권을 노리는 유력후보들의 압박에 당 지도부의 입장에도 변화조짐이 보인다. 인사청문회를 통한 검증을 요구하던 이완구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좀 더 지켜보자"며 한 발 물러섰고 주요 당직자들의 반대 의원 설득작업에도 제동이 걸렸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도 의원들에 대한 설득보다는 입장표명 자제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당내에선 서청원ㆍ김무성 두 유력 당권 주자의 발언으로 사실상 당의 입장 정리가 끝났다고 보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당내 기류 변화는 없다고 보는 게 맞다. 논란이 됐을 때부터 반대기류가 컸다. 다만 일부 당 지도부만 이 논란을 끌고 가자는 입장이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 원내대표도 법적 절차에 따라 진행하자는 것이지 강성은 아니다"면서 "(문 후보자가) 버티긴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당 지도부의 한 중진 의원도 "국민들의 상식적 수준에서 설득이 돼야 하는데 어려운 국면"이라며 "문 후보자가 여당도 설득시키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회를 설득하긴 어렵다. 당에 대한 설득조차 안 되면 포기하는 게 맞다"고 언급했다.여당의 기류 변화에는 7ㆍ30 재보선에 대한 부담 때문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수도권 한 중진 의원은 "당장 7월 재보선이 있다. 여기서 패하게 되면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은 더 어렵게 된다"고 했다. 한 초선 의원도 "더 이상 끌고가면 재보선이 위험하다"며 "당 지도부가 빨리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반대 의원들도 일단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미 당내 여론은 충분히 전달됐고 박 대통령이 해외 순방 중인 상황에서 더 이상의 요구는 자칫 불필요한 정치적 오해만 불러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 초선 의원은 "더 이상 얘기하면 정치적 액션으로 오해를 받을 수 있다. 이미 당내 여론은 충분히 확인한 것으로 보이고 서 의원까지 공개적으로 발언한 만큼 이제는 청와대와 문 후보자 그리고 당 지도부가 고민과 선택할 시간을 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실상 박 대통령과 문 후보자의 결단만 남은 셈이다.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제출은 당초 17일로 예정됐으나 뚜렷한 이유없이 18일 오전까지 제출되지 못했다. 대통령 순방기간 중 시급한 사안에 대해서는 대개 일정이 끝난 밤에 전자결재를 하는 경우를 감안하면, 박 대통령이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는 중으로 관측된다. 문 후보자는 이날 오전 후보자 집무실로 출근하면서 임명동의안 제출과 관련 "아직 소식을 못들어 제가 어제 퇴근하는 그 상황 이외의 진전은 모르겠다"고 알렸다. 문 후보자는 현재까지 사퇴의사는 없다는 입장이다.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정치경제부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