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된 철도차량 집중점검…'문제있으면 모두 폐차'

최연혜 코레일 사장 지시, 1량당 145억원 비용부담이 걸림돌될 듯16년 이상 철도차량이 절반 달해…점검시스템 재확인도 뒤따라야[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철도사고 예방을 위해 대대적인 노후 시스템 개선에 나선다. 특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20년 이상 된 노후차량은 모두 폐차키로 했다.서울 지하철 4호선 금정역 사고가 발생한 다음 날인 20일 코레일은 긴급 임원회의를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최연혜 사장이 "20년 이상 차량을 집중 점검, 문제가 있는 경우 모두 폐차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이 최대 이슈로 부각된 가운데 국가 기간교통망인 철도에서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그 원인으로 노후 시스템이 지목되자 사고원인을 제거하라는 주문을 한 것이다. 이 같은 코레일의 결정은 철도교통을 감독하는 국토교통부의 의지와 맞아떨어지면서 힘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역시 노후 차량이나 부품이 잇단 사고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고의 원인으로 노후차량이 지목되고 있는데 10% 이상이 20년 이상 노후차량이라는 것은 맞다"며 "코레일과 서울시 등이 보수나 교체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예산문제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규 노선에 한해서는 정부가 차량 1량당 50%를 지원해주지만 기존 노선의 경우 코레일이 전부 부담하게 된다. 새 철도차량 1대를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은 145억원에 달한다. 이번에 최 사장의 지시로 폐차를 검토하게 될 차량은 모두 기존 노선에 투입되고 있어 새 차량 구입 비용은 모두 코레일이 지불해야 하는 셈이다. 더욱이 코레일이 보유한 차량은 총 2485량으로 이 중 20년 이상 차량은 415량(16.7%)에 달한다. 16~20년 된 차량도 824량으로 33.2%나 된다. 16년 이상 된 차량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는 셈이다. 이 외에 ▲5년 미만 562량(22.6%) ▲6~10년 354량(14.2%) ▲11~15년 330량(13.3%)이다.코레일 관계자는 "차량 한 대를 바꾸는 예산이 만만치 않고 모두 코레일이 지불해야 된다"면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후 차량을 운행에서 제외시킬 경우 여객혼잡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어 관련 부서에서 해결책 마련에 부심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이처럼 코레일이 노후차량 교체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국민의 철도안전에 대한 불안심리를 잠재워야 한다는 뜻에서다. 국민은 철도가 빠르고 정시성을 보장하면서 안전하다는 점을 믿어왔는데, 잇단 철도사고가 이런 의식을 퇴색시킬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사실 이달 들어 코레일, 서울메트로 등이 운영하는 지하철 노선에서 크고 작은 열차사고가 6번이나 발생했다. 지난 2일에는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추돌사고로 무려 20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8일엔 송내역 역주행, 9일 도착 지연, 12일과 13일에는 출입문 고장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에 한쪽에서는 노후한 차량과 시스템 등에 대한 재정비와 점검시스템의 재확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승환 국토부 장관이 17일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방문, "철도차량 검수 실명제를 통해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을 완전히 해소해야 한다"며 "앞으로 모든 분야에서 실명제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선언했으나, 19일 밤 또다시 지하철 4호선 금정역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의지를 무색케 했다. 코레일 역시 잇단 사고에 지난달 주요 역과 현장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사고가 끊이지 않자 이번 기회에 노후된 부분을 정밀하게 찾아내고,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재확인해 철도교통에 대한 신뢰를 회복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