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을 나무에서 숲으로, 인류의 가치로 ”
윤장현 광주시장 후보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광주정신’이라는 말이 어디에서 나왔을까? 5·18이 광주민중항쟁에서 저항과 정의를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었듯이, ‘광주’라는 고유명사는 ‘광주정신’이 되면서 민주, 인권, 평화를 상징하는 일반명사가 되었다. 광주의 5·18이 아시아의 5월이 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승화되면서, 5월의 나무는 숲으로 컸다. 나무를 숲으로 만든 사람들 한 가운데 윤장현 후보가 있다. 80년 5월 항쟁 당시 윤 후보는 조선대 병원 안과 레지런트 1년차로 응급실로 실로 오는 눈을 다친 부상자들과 계엄군 등을 치료하느라 옷을 갈아입기 위해 일주일에 한번 집에 들어갈 정도로 눈코 뜰 새 없이 보냈다.이후 윤 후보는 사망자와 부상자들의 병원 기록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 당시 기독교병원 전홍준씨와 함께 전남대 병원, 기독병원에서 치료 받았던 환자 기록을 확보하는 한편 선교사들을 통해 국외로 전하기 위해 노력했다.5·18과 관련한 윤 후보의 진면목은 광주의 세계화를 최초로 시도했으며 완성시킨 주인공이었다는 것이다.1993년 광주시민연대 공동의장이던 윤 후보는 80년 5월의 현장에 있었던 외국인 영어 강사를 초청, ‘반인륜 청산’에 관한 세미나를 연 것이 광주의 세계화의 첫 출발점이었다.이를 계기로 홍콩에 본부를 두고 있는 ‘아시아 인권 위원회’ 의장인 바실 패르난도씨와 프로그램 책임자 산지와 리야나게씨가 ‘아시아 인권헌장’을 광주시민연대와 공동작업 할 것을 제안하자 이를 수락, 마침내 1998년 광주에서 세계 유명 인권운동가와 단체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인권헌장’ 선포식을 갖고 광주정신을 전 세계에 알렸다.특히 지난 2011년 5·18 기록들의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 때에는 심사 소위원장인 아바콘 박사의 소재를 파악, 광주로 초청해 5월 묘역, 상무대 영창 등 유적들과 전남대 5.18연구소애 보존된 기록들을 보여주는 등 사전 작업을 치밀하게 했다. 그 결과 뉴 라이트 회원들이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반대 시위에 나서자 심사위원들이 한국내에서도 합의 되지 않는 기록을 등재하는 것에 동의를 미루는 등 제동이 걸리자 아바콘박사가 이들을 설득, 등재시키도록 하는데 숨은 공로자 역할도 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노해섭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