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아울렛몰 등 상업시설 대거 유치로 활용… 지하철 개통 늦고 상권 중첩으로 수익성 의문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 서구 연희동에 들어선 인천아시아드 주경기장은 아시아 최대 관람석 규모(6만2818석)와 최첨단, 친환경 설계로 지어졌으며 '빛을 담다. 바람이 분다. 춤을 춘다'는 세가지 컨셉을 바탕으로 즐거운 아시아, 춤추는 인천을 형상화했다.
45억 아시아인들의 축제의 장이 될 인천아시안게임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주경기장이 최근 그 위용을 드러냈다. 인천시 서구 연희동에 자리잡은 주경기장은 아시아 최대 관람석 규모(6만2818석)로 지어졌다. 최첨단, 친환경 설계로 인천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지만 4900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건설비용은 여전히 시 재정난의 주범이 되고 있으며 대회 이후 주경기장 관리 및 활용 문제도 숙제로 남아 있다. 2002년 한일월드컵을 치른 후 전국의 대부분의 월드컵 경기장이 운영적자를 내며 지자체 재정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아시안게임 주경기장도 그와 같은 골치덩이가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 12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아시안게임이 끝나고 나면 주경기장을 비롯한 신축 경기장 16곳, 기존 경기장 10곳에 대한 사후 관리에 연간 100억원대 혈세가 투입될 전망이다.이들 경기장에 대한 연간 사후 관리비가 400억원 가량으로 이 가운데 60∼65%는 운영에서 발생하는 수입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35∼40%는 세금을 투입하게 된다. 매년 140억~160억원 가량의 세금이 들어가는 셈이다. 시는 경기장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연간 100억대의 관리비용을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서구 주경기장을 흑자수입원으로 해 나머지 경기장의 적자를 보전하는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인천시 관계자는 “국내 대형유통업체를 상대로 면담 및 의견 수렴을 거쳤고 상암월드컵경기장 등 타 광역시도 체육시설의 운영실태도 벤치마킹해 경기장 활용방안을 수립중에 있다”며 “주경기장 일대에 공원 녹지가 조성돼있어 시민 휴식공간과 수익시설을 적절히 조합하면 경기장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시는 대회가 끝나면 주경기장 6만2818석 중 가설 관람석 3만여석을 철거하고 영화관, 아울렛몰, 연회장, 스포츠센터 등 수익을 낼 수 있는 시설을 대거 유치한다는 계계획이다. 시는 공실이 발생할 수 있는 분할 임대보다는 위락·쇼핑·문화시설을 아우를 수 있는 대형 업체 1곳에 공간을 통째로 임대하려고 추진하고 있다. 유명 가수 공연 등 대형 콘서트 장소로 경기장을 대관해 수익을 올릴 구상도 세우고 있다. 또 다른 시·도 경기장과 차별화 할 수 있는 수익시설로 서바이벌 게임장, 키즈테마시설, 유스호스텔 등을 검토하고 있다.하지만 이들 시설이 기대만큼의 수익을 낼 수 있을지는 다소 회의적이다. 인천 외곽에 위치한 서구 주경기장은 현재 시내버스 노선이 2개에 불과하고 지하철이나 전철역과도 연결되지 않는 등 상업시설 성패를 좌우할 교통인프라가 아직은 미흡하다. 주경기장에서 약 50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인천지하철 2호선 신설역은 2016년 이후 개통으로 역세권 효과를 보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일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월드컵 이후 상당수 경기장들의 사례에서 보듯 인천아시아드 주경기장 역시 기존 경기장들처럼 천편일률적인 상업시설 유치로는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나마 서울 상암월드컵 경기장이 사후활용이 잘 되고 있다지만 이 역시 운영 10년이 경과하면서 수익상승률 정체기를 맞고 있다. 상암경기장의 경우 평일 수요를 높일수 있는 시설이 미흡한 점이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나머지 경기장들도 수익시설을 유치하더라도 지하철 접근성 등 교통여건이 양호하지 않거나 경쟁력있는 업종 유치 실패, 경기장 유휴공간 활용 미흡, 경기장 주변 주거수요 부족 등이 개선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임 안상수 시장 때 추진돼 인천시의 재정난의 한 원인이 된 아시안게임 유치가 인천시 살림살이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칠지 일단 우려가 적잖은 상황이다.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