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제도 어렵다 '해법은 캐디선택제?'

경상이익률 12.6% 급락, 군산 필두로 대중제에서는 '캐디선택제' 급속 확산

대중제 역시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캐디 없이 라운드하는 셀프라운드가 확산되고 있다.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거품을 걷어낸 착한 골프장."한국대중골프장협회의 2014년 슬로건이다. 일단 캐디와 카트선택제 확산, 식음료 가격 인하 등을 서두르고 있다. "거품을 제거해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시도다. 골프장 급증에 불황까지 겹쳐 지난해에는 "회원제에 비해 그나마 낫다"는 대중제 역시 영업이익률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사실 대중제의 경우 18홀 그린피는 10만원 안팎이다. 캐디팁은 그러나 팀 당 10만원~12만원, 카트비는 8만원~10만원이다. 오히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셈이다. 국내 골프장 캐디팁은 지난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인상 바람이 불어 지금은 대부분 12만원을 받고 있다. 입장객 수가 줄면서 감소한 캐디 수입을 보전하기 위한 방편에서 출발했다. 골프장 측에서도 캐디의 이직을 막기 위해 눈감아 주는 분위기다. 골퍼들은 그러나 "비용 증가로 대중화를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아예 노캐디제를 시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실제 일부 골프장에서는 캐디선택제로 호응을 얻고 있는 곳도 있다. 전북 군산이 대표적이다. 동절기 시험 운영한 결과 지난 2월 캐디 없이 라운드한 골퍼가 46%에 육박했다. 1인용 전동카트를 끌고 플레이하는 시스템이다. 골프장 측은 "카트가 부족해 예약을 받을 정도"라고 했다. 3월부터는 아예 전용코스를 운영하는 등 영역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대중제 전체의 변화도 감지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9홀 이하 112곳 가운데 캐디 없이 운영하는 골프장은 20.5%인 23개소, 캐디선택제를 도입한 골프장도 3곳으로 늘어나는 추이다. 회원제에 비해 1회 라운드 비용에서 캐디팁과 카트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중제에서는 캐디선택제가 일단 경영난을 돌파할 신개념 마케팅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중에의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집계한 지난해 대중제 경영실적 분석에 따르면 83개소의 영업이익률은 28.3%, 2012년(33.5%)에 비해 5.2% 포인트나 하락했다. 수익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경상이익률은 2012년 14.4%에서 무려 12.6% 포인트나 급락해 1.8%다. 회원제의 대중제 전환까지 가세해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회원제의 캐디선택제 도입은 반면 아직 미미하다. 대부분 산악지형에 조성돼 경기 진행과 코스 컨디션 유지, 카트 안전사고 예방 등 '캐디 효과'가 크다. 골퍼들에게 거리와 골프채 선택, 퍼팅라인 등 플레이에 대한 도움과 공을 찾아주는 등 많은 수고를 덜어주는 부수적인 역할도 만만치 않다. 여기에 슬로플레이, 벙커 정리조차 하지 않는 일부 골퍼들의 부족한 자질도 문제다. 결과적으로 코스에 따라, 회원제와 대중제 등 운영형태에 따라, 또 시간대에 따라 캐디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가 합리적이라는 게 중론이다. 황현철 일본 PGM(퍼시픽골프매니지먼트) 한국 대표 역시 "모든 골프장이 반드시 캐디선택제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며 "각 골프장의 콘셉트나 마켓, 고객 컬러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해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골프장 경영지표 그래프. 자료=한국레저산업연구소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팀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