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삼성그룹이 올해부터 신입사원 채용 방식을 바꾼다. 핵심은 삼성직무적성검사(SSAT) 응시에 제한을 두는 것이다. 그동안 일정 자격만 갖추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서류전형을 거쳐야 한다. 대신 전국 200여개 4년제 대학 총학장에게 추천권을 주는 등 서류전형 면제 대상 인재를 발굴하기로 했다. SSAT도 암기 중심에서 논리적 사고력 중심으로 개편한다. 삼성의 개편안은 공채 과열 양상을 해소하고 SSAT를 겨냥한 입사 사(私)교육 시장 팽창 등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고육책이다. SSAT 응시 인원은 한 해 20만명에 이른다. 시중에는 한 권에 2만원 수준인 수험서가 60여종이나 나와 있다. '삼성 고시'를 대비한 사설 학원 수강료는 최고 25만원에 달한다. 삼성 공채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이 수백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올 정도다. 하지만 SSAT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어서 사회적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 오히려 서류전형과 추천제 도입으로 삼성 취업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란 지적이 있다. 미리 업무와 관련된 경험을 쌓아야 하고 추천을 받기 위한 경쟁을 해야 하는 등 또 다른 스펙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삼성, 현대차, LG 등 대기업 공채에 수만명씩 몰리는 건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대기업에 국한된 일만도 아니다. 지난해 9급 공무원 공채에 20만여명이 응시하는 등 공시족들도 해마다 급증한다. 반면 중소기업은 사람을 못 구해 난리다. 정상적인 현상이 아니다. 청년실업률이 지난해 8%로 치솟고 고용률은 30%대로 내려앉았다. 고용이 불안한 현실에서 청년들이 안정된 일자리를 찾아 대기업과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걸 탓할 수는 없다. 그러나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면 우려스러운 일이다. 미래를 짊어질 청년들이 안정만 추구하면 사회의 활력이 약화할 게 뻔하다. 인력 자원 배분의 효율성도 떨어진다. 근본 해결책은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내는 것이다. 국가와 사회는 청년들이 자신의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넓혀 주어야 한다. 청년들의 의식도 달라져야 한다. 급여와 안정성도 중요하지만 꿈을 펼칠 수 있는 직장,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 정신도 그에 못지않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