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구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진시황의 본명은 영정으로 BC 259년 진나라 왕족 자초의 아들로 태어났다. 자초는 거상 여불위의 도움으로 장양왕이 됐고 그의 아들 영정 역시 13살에 제왕의 자리에 올라설 수 있었다. 수백년 이어진 전국시대를 마감하고 통일제국을 건설한 진시황은 위대한 황제였다. 그러나 독단적이고 잔인한 성격, 과격한 개혁은 그를 위대한 폭군으로 자리매김하게 만들었다. 진시황은 22세부터 친정해 한ㆍ조ㆍ연ㆍ위ㆍ초ㆍ제 등 6국을 멸망시켜 BC 221년 통일의 대업을 이루었다. 중국 전문가 다케우치 미노루는 공자, 진시황, 마오쩌둥, 덩샤오핑을 중국 4대 위인으로 꼽았다. 다케우치에 따르면 진시황은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황제이며 통일 중국의 초석을 깔았고, 많은 영웅호걸들에게 역사상 활동 무대를 제공한 점에서 위대하다는 것이다. 그는 폭군의 이미지가 강하다. 분서갱유 사건을 일으켜 수천명의 학자를 죽였다. 만리장성을 축조하기 위해 수십만명이 고통을 받았고 6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병사와 백성이 도륙됐다. 그러나 그의 '위대함' 역시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무엇이 그를 위대한 지도자로 만들었을까. 첫째로 그는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황제다. 이전에 은, 주 같은 왕조가 있었지만 전국을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통일왕조는 진이 최초다. 진 제국 이후의 역사에서 통일은 '노멀'로 자리 잡았다. 한, 당, 송, 원, 명, 청 등 통일왕조가 중국사의 흐름을 이어갔다. 400년간의 위진 남북조시대나 60년간의 오대시대는 예외적 시기로 간주됐다. 둘째로 그는 춘추시대 중기에서 전국시대 초기에 배아된 '국가' 개념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천하국가를 목표로 삼았다. 국가주의를 통해 제국을 통일했고 천하국가를 지향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제도의 정비, 즉 화폐와 도량형의 통일, 문자 통일을 추구했다. 중국의 사회제도적 패턴이 진 제국 이전과 이후로 확연히 구분되는 것은 이러한 개혁 덕분이었다. 그러나 무리한 사상 통일의 시도가 제국의 내부 모순을 초래해 멸망의 단초가 된 것은 매우 안타깝다. 셋째로 그는 이후 2000년간 이어진 전제군주 제도를 확립했다. 황제가 통치방침을 정하고 지방정부를 직접 통제함으로써 제국 전체를 일사불란하게 통치할 수 있었다. 군주제의 확립을 위해 관료제와 군현제를 채택했고 이는 이후 중국 정치의 표준이 됐다. 천하통일 후 진나라 관제를 기본 골격으로 삼아 삼공(三公) 구경(九卿)을 두어 위로는 재상인 승상부터 말단 지방 관리까지를 아우르는 정교한 관료시스템을 구축했다. 한반도의 40배가 넘는 방대한 중국 영토를 어떻게 통치할 것인가는 제국의 운명을 좌우하는 핵심 사안이었다. 진 이전에는 왕의 친인척을 세워 봉건 제후국을 건설하는 것이 전통적 방식이었다. 그는 승상 이사의 건의를 받아들여 군현제를 실시했다. 황실 친인척과 공신에게는 "국가의 부세로 후하게 상을 내리면 충분하다"는 것이 이사의 견해였다. 지방을 각기 다른 행정구역으로 나누어 중앙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군현제야말로 황제 전제정치가 뿌리내리게 된 제도적 장치다. 황제의 통치권이 직접 미치는 군현제를 채택한 것이야말로 탁견이었다. 중국이 빈번한 외침과 내부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체제를 지탱할 수 있었던 핵심 요소였다. 당의 유종원은 '봉건론'에서 진시황이 군현제를 실시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 봉건제 폐지가 진 제국의 멸망을 가져왔다는 한나라 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진이 망한 것은 어디까지나 정치의 실수 때문으로 군현제 채택은 현명한 결정이라고 옹호했다. 명대의 이지는 "진시황이 황제제도를 개창하고 천하를 무너뜨리는 엄청난 일을 했다. 세계를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성인인가 마귀인가는 가볍게 논하기 어렵다"며 진시황은 마땅히 천고일제(千古一帝)여야 한다고 변호했다. 그는 춘추전국시대의 대변혁을 완성한 주역이다. 그러나 '과격'과 '무자비'로 인해 후세 왕조가 경계하고 타산지석으로 삼는 표본이 됐다. 하지만 진시황은 적어도 자신의 의지대로 중국의 역사를 써 내려간 위인이다.박종구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