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31조에서 지난해 말 19조원으로 급감, 골프자산시장 붕괴 우려
시가총액 3700억원으로 가장 비싼 몸값을 자랑한 가평베네스트골프장.
[아시아경제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손은정 기자] 골프회원권 시가총액.회원권 값에 회원 수를 곱한, 이를테면 골프회원권시장 전체의 자산 규모다. 최근 5년간 회원권시세가 폭락하면서 바로 이 시가총액 역시 반토막이 난 상황이다. 최고점을 찍었던 2008년 30조8900억원에서 2013년 12월 현재 18조9400억원으로 줄었다. 골프회원권의 자산 가치가 40%나 급감하면서 그동안 무려 11조9500억원이 허공으로 날아갔다는 이야기다. 시가총액은 2009년 25조8500억원으로 감소했다가 2010년에는 28조7400억원으로 반등해 '반짝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이때가 마지막 호황이었다. 2011년 25조2500억원으로 다시 떨어졌다가 2012년 21조3700억원, 지난 연말에는 20조원 아래로 곤두박질쳤다. 에이스회원권거래소가 금융감독원이 공시한 사업 및 감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집계한 자료다. 글로벌 금융위기에 신설골프장 급증으로 공급 과잉이라는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가평베네스트가 가장 몸값이 비싼 골프장이다. 회원 수 500명에 7억4000만원, 3700억원에 달했다. 2012년 회원 수 1195명에 3억500만원으로 1위(3462억원)를 차지했던 '골프종가' 서울은 반면 시세가 2억3700만원으로 하락하면서 시가총액 역시 2829억원으로 633억원이 줄어 2위로 밀려났다. 이스트밸리가 375명에 6억2000만원으로 3위(2325억원), 88이 1979명에 1억1600만원으로 4위(2295억원), 한양이 1490명에 1억5200만원으로 5위(2264억원)다.시가총액은 회원권 값이 높거나 회원 수가 많은 순으로 몸집이 컸다. 가평베네스트와 이스트밸리는 회원이 각각 500명과 375명에 불과했지만 7억4000만원과 6억2000만원의 시세로 1, 3위를 차지했다. 88은 반대로 1억원대의 싼 시세에도 불구하고 1979명의 인해전술을 앞세워 4위에 안착했다.향후 추이는 그러나 소수의 고가 회원모집을 완료한 골프장, 그것도 모기업이 탄탄한 곳이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실제 예전의 회원권 선택 기준이었던 접근성과 주말부킹률은 최근에는 모기업의 안정성으로 급선회했다. 가평베네스트가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선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에버랜드라는 모기업 덕분에 믿음이 더해져 오히려 7.4% 상승했다. 사조산업의 캐슬렉스와 하이트맥주의 블루헤런, 코오롱그룹의 우정힐스도 같은 맥락이다. 골프장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홀 당 회원가 역시 소수 회원 코스에 집중돼 있다. '국내 최고가' 남부가 1위(5000만원)다. 시세를 전체 홀수로 나눈 금액이다. 이스트밸리와 남촌, 렉스필드 등 '곤지암 3인방'과 가평베네스트 등 이른바 국내 명코스들이 상위권을 점령했다. 연회원제로 운영되는 안양은 시세가 없어 제외됐고, 휘슬링락과 트리니티 등 신흥 명문은 아직 회원모집을 끝내지 않아 수면 아래 있다.문제는 지금 같은 추세 시가총액 역시 급속도로 축소된다는 대목이다. 지난해에는 더욱이 골프장을 소유하고 있던 일부 대기업마저 무너져 가속도까지 붙었다. 입회금 반환사태와 경영 악화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었지만 지금도 매일 수십억원이 들고 나는 곳이 회원권시장이다. 국내 골프장 대부분이 회원제라는 점을 감안하면 골프산업의 핵심 분야일 수밖에 없다. 골프업계에서 가장 큰 돈이 흐르는 자산시장이 붕괴되고 있다.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손은정 기자 ejs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스포츠부 김현준 골프전문기자 golfkim@asiae.co.kr골프스포츠부 손은정 기자 ej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