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리스크]이웃엔 '붉은 변덕쟁이' 설치고…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올해 우리 경제 성장에 있어 가장 큰 불확실성 가운데 하나는 '시진핑 신(新) 정부' 들어 뒤바뀐 중국의 대내외 정책 기조다. 수출과 투자 주도의 고성장 경제를 지향하던 중국 정부는 최근 소비 주도 경제로 전환하는 정책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중국 경제의 구조 개혁 정책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떨어뜨리고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의 수요 패턴을 변화시킨다는 데 있다. 대(對)중국 수출 의존도가 사상 최고에 이른 우리나라는 중국 성장이 둔화할 경우 직간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올해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의 성공 여부와 이에 따른 중국 경제성장률의 변화는 우리 실물경제 성장을 억누르는 최대 리스크가 될 전망이다. 정성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제경제실장은 "올해 중국 경제와 관련한 주요 이슈는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올해 중국 경제는 7%대 성장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정부가 7.5% 성장을 목표치로 제시한 상황에서 국제통화기금(7.7%)과 JP모건(7.2%) HSBC(7.4%) 등도 8%대에서 일제히 7%대로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국제 사회는 중국 경제가 당분간 7%대 성장률을 보이면서 연착륙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낙관론은 경계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중국 경제성장률이 단기적으로 6%대로 급락할 우려도 제기한다.특히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한국은 중국에 대한 최대 수출국이다. 한국의 총 수출 가운데 대중국 수출 비중은 25.1%로 사상 최고 수준으로, 중국의 성장 둔화 시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강두용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국내 전 산업 수출과 부가가치는 각각 1.3%, 0.3% 감소할 것"이라며 "업종별로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산업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향후 중국 정부의 구조 개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중국 경제의 질적 성장에 따른 새로운 기회가 열릴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한재진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내수 시장을 겨냥한 소비재 수출 확대 기회는 물론 중국 금융 시장의 선진화에 따른 은행, 보험 등 금융 기관의 진출 기회도 생길 것"이라며 "중국이 민간 중심 경제 체제로 전환할 것에 대비해 건설, 교통뿐 아니라 경제 전방위적으로 기업 및 민간 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