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사회적기업 1000개, 자생력을 키워야

사회적기업은 고령자ㆍ장애인 등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서비스를 제공해 삶의 질이 나아지도록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는 기업이다. 이익의 일정 부분을 사회에 환원한다. 이윤 추구를 우선하는 일반 기업과 다른 점이다. 사회적 약자가 국가나 사회의 도움 없이 스스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일자리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고용과 복지를 동시에 실천하는 '착한 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이 1000개를 넘어섰다. 2007년 7월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시행한 지 6년 만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774개였던 사회적기업은 현재 1012개다. 1년 새 30.7% 증가했다. 종사자도 1만8689명에서 2만2533명으로 20.6% 늘었다. 고령자와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1만3361명으로 전체의 60.6%에 달한다. 양적인 면에서 눈에 띄게 성장했다.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물론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는 탄탄한 사회적기업도 있다. SK그룹의 '행복나래'처럼 대기업이 참여하는 큰 규모의 기업도 여럿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68곳이 문을 닫은 것을 비롯해 경영난에 시달리며 존폐를 고민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고 한다. 정부의 인건비 지원 기간 5년이 끝나자마자 존립 기반이 흔들리는 것이다. 자체 수익모델을 개발하지 못해 자생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기업경영 경험이 거의 없는 데다 자본 부족에 판로 미비 등으로 경쟁력이 일반 기업에 밀린다는 얘기다. 정부는 지난 7월 사회적기업을 2017년까지 3000개로 늘리고 10만명의 고용을 창출하겠다고 했다. 의욕은 좋지만 양적인 성장 위주는 경계해야 한다. 질적인 내실을 다져 지속 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자생력을 키워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정부의 사회적기업 육성 및 지원 정책에 변화가 요구된다. 인건비 지원을 통한 고용 증대추구 정책에서 벗어나 사회적기업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데 한층 관심을 가져야 한다. 판로 지원, 특히 공공부문의 구매 확대가 절실하다. 운영 안정을 위한 사업비 지원도 필요하다. 사회적기업들이 정부 의존에서 벗어나 인적 자원을 육성하고 창의적 혁신을 추구하는 등 스스로 뿌리를 내리는 노력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