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은석 기자] 새누리당 지도부의 임기만료일이 5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전당대회 시기'를 두고 당 안팎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대선 불복 논란 등 다른 정치현안에 가려져 있어 논의를 본격화하지는 않고 있지만, 언제 전당대회를 여느냐에 따라 당내 권력지형이 바뀌고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황우여 대표의 임기는 내년 5월15일까지다. 새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도 5월 중순 치러야 한다. 문제는 내년 6월4일 실시되는 지방선거다. 시기에 대한 고민은 여기서 출발하고 차기 당권주자들의 이해관계도 이 지점에서 갈린다. 예정대로 5월 중순 전당대회를 치를 경우 공천까지 마무리된 상황에서 새 지도부가 마땅히 할 수 있는 게 없다. 그래서 '조기 전대론'이 등장했다. 내년 3월 전 새 지도부를 선출해 지루한 대선불복 정쟁 구도를 주도적으로 전환할 경우 지방선거도 승리할 수 있다는 논리다. 게다가 최근 발표되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지방선거 전망이 어둡지 않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체급이 낮은 당권 주자와 이인제ㆍ이완구 의원 등 충청권 인사들이 선호한다. 조기 전당대회 시 서청원ㆍ김무성 의원 등 유력 주자들의 불출마 가능성이 커 지도부 진입이 수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당 관계자는 "조기 전대 시 유력한 당권주자인 서청원ㆍ김무성 의원의 출마는 어렵다. 10월에 들어온 서 의원이 당 전면에 나서기는 너무 빨라 부담이고 김 의원도 지방선거 이후를 선호한다"고 말했다. 지난 5일 홍문종 사무총장이 "지방선거 이후에 선거를 하는 게 대세"라고 말하자 김 의원 측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최근 움직임이 활발한 충청권 의원들은 보수층 결집을 위해선 영남보다 충청 출신을 당 얼굴로 내세웠을 때 유리하다는 '충청권 대표론'을 설파하고 있고, 시기도 지방선거 이전이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국회의장 출마를 저울질 중인 황 대표와 서 의원의 영향력이 더 커지기 전 출마가 유리한 최경환 원내대표도 조기 전당대회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차기 대권 밑그림까지 함께 그리는 잠룡들은 지방선거 이후인 7월을 선호한다. 지방선거 패배 시 '단명 대표'로 끝난다는 위험부담이 크고 선거 후 선출되는 당 대표는 2년 임기를 채울 경우 제20대 총선의 공천권도 행사할 수 있어 당권을 발판으로 차기 대선까지 노려볼 수 있기 때문이다. 김무성 의원이 이 방안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는 경쟁자인 서청원 의원이 후반기 국회의장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지방선거 불출마 뒤 전당대회를 통해 중앙무대로 진출, 차기 대선을 준비할 계획인 김문수 경기도지사도 이 그룹에 속한다. 김 의원과 달리 당내 기반이 없는 김 지사는 청와대와 지방선거 불출마 등을 두고 조율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방안을 선호한다. 청와대로서도 지방선거 이후 전당대회가 유리하다. 지방선거 이후 국면전환 카드로 활용이 가능하고, 여러 친박주자를 전면에 내세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친박계 핵심인 홍 사무총장의 "지방선거 이후" 발언이 청와대 메시지로 해석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