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진주 '저 PER주' 찾기

실적 모멘텀 둔화에 관심…내년 기대반영 12월 강세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기업들의 실적 모멘텀이 둔화되면서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종목의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업들의 부진한 실적으로 인해 국내 증시의 관심이 모멘텀이 아닌 밸류에이션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20일 신한금융투자에 따르면 지난 주말부터 이어진 지수 상승으로 코스피의 PER이 9.4배를 넘어섰다. 코스피 12개월 예상 PER은 9.44배로, 코스피 밸류에이션이 정상화된 2010년 이후 평균인 9.14배에 비해 0.3배 높은 수치다. 코스피 PER은 실적 시즌이 시작된 10월 초부터 빠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코스피는 9월 말에 비해 0.7% 상승한 반면 PER은 2.5% 높아졌다. 3분기 실적 부진으로 이익 예상치가 하향조정됐기 때문이다. 류주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PER의 상승 속도가 빠른 만큼 대응 전략을 고민해야 하는데 저PER 종목 중심의 대응이 바람직한 시기로 판단된다”면서 “저PER 전략은 한국시장에서 비교적 적중률이 높은 전략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본적으로 승률과 초과수익률이 모두 뛰어난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저PER 종목군은 최근 12개월 중 9개월 동안 시장수익률을 상회했다. 최근 1년 동안 월평균 초과수익률도 0.9%포인트에 달한다. 이 같은 저PER 종목군의 상승세는 기업들의 이익모멘텀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이경수 신영증권 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의 전반적인 이익모멘텀 둔화가 지속되면서 저PER 종목일수록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면서 “모멘텀이 부진한 상황에서 향후 예상이익 대비 싼 주가를 보이는 종목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국내 증시의 관심이 모멘텀이 아닌 밸류에이션으로 옮아가면서 저PER 종목에 대한 관심은 일시적인 것이 아닌 구조적이고 추세적일 것이라는 판단이다. 저PER 종목군의 강세는 12월에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내년 이익 대비 주가가 싼 종목을 미리 매집하는 구간이 바로 연말이기 때문이다.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