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희생자 명단 최초 공개

국가기록원, 주일대사관서 발견된 기록물 분석 결과 발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최근 주일대사관에서 발견된 3·1운동 당시 일제에 의해 피살된 사람들의 명단과 관동대지진때 학살된 조선인의 명단, 징용에 끌려간 사람들의 명단이 19일 공개됐다.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이날 1953년 이승만 정부에서 작성한 '3·1 운동시 피살자 명부'(1권 630명),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1권 290명), '일정(日政)시 피징용(징병)자 명부'(65권 229,781명) 등 총67권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이날 공개된 기록들은 최근 일본 도쿄에 있는 주일한국대사관이 이전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으로, 1952년 12월 15일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된 명단으로 알려졌다. 특히 1952년 2월 제1차 한일회담 결렬 후 1953년 4월 제2차 한일회담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날 공개된 명단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3·1 운동 피살자 명부로, 1권 217매로 지역별로 총 630명의 희생자가 실려 있다. 그 동안 국내외에서 한번도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피살자 명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는 게 기록원의 설명이다. 그동안 3·1 운동시 순국한 이들 중에 공식적으로 독립유공자로 인정된 숫자는 현재까지 총 391명에 불과했다. 이번에 발견된 명부에는 일부 지역의 경우 읍·면 단위로 성명, 나이, 주소, 순국일시, 순국장소, 순국상황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지역 별로는 경기도 지역의 경우 총169명이 기록돼 있는데, 이중 지금까지 독립유공자로 포상된 경우가 53명, 포상이 보류된 경우가 8명이었다. 이번 자료를 통해 전체 3분의 2인 100여명이 새롭게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10대 2명, 20대 34명, 30대 47명, 40대 45명, 50대 이상 41명(미상 4명 포함) 등 전 연령층에 고루 분포돼 있다. 충청도 지역의 경우 이 기록물에 실려 있는 총 100명중 이미 31명이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았고, 69명이 새로 발견됐다. 특히 유관순 열사가 만세 운동을 벌인 것으로 알려진 천안군의 경우 29명중 16명이, 예산군의 경우 10명중 7명이 새롭게 발견됐다. 1923년 9월1일 발생한 관동대지진 당시 일본인들에 의해 학살된 한국인들의 명단인 '일본진재시피살자명부'(1953년)도 이번에 최초로 공개됐다. 1권 109매의 책에 총 290명의 이름이 들어 있다. 관동대지진 당시 한국인 피살자 수는 적게는 6000여명, 많게는 2만여명이 학살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체적인 희생자 명단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 명부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희생자 이름 이외에, 본적, 나이, 피살일시, 피살장소, 피살상황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일제에 의해 강제 징용된 이들의 명단인 '일정시(日政時) 피징용(징병)자 명부'도 공개됐는데, 한국 정부가 1953년 작성한 것으로(총65권 22만9781명) 피징용자명부 중 가장 오래된 원본기록으로 추정되고 있다. 강제징용자 명단은 '왜정시(倭政時) 피징용자 명부'(19‘57년 노동청 작성) 등도 따로 보존되고 있다. 특히 이 명부에선 종전 명부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생년월일, 주소 등이 포함돼 있어 피해자 보상심의를 위한 사실관계 확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박걸순 충북대 사학과 교수는 "3.1운동과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명부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최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이 분야 학술연구는 물론 과거사 증빙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며 "정부 수립 직후 우리 정부차원에서 처음으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했다는 사실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