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시장 확대가 고용 개선의 근본적 해결책 못 돼'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제조업의 좋은 일자리 비중은 늘어난 반면 서비스업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일자리가 고용의 양을 늘리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고용의 질을 높이는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20일 LG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좋은 일자리 관점에서 본 한국고용의 현주소'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의 좋은 일자리 비중은 2002년 이후 꾸준히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용안정과 경제적 보상, 근무조건의 질이 높을수록 좋은 일자리로 봤다. 이는 각각 상용직 비중과 임금, 근로시간이라는 세 가지 지표로 평가했다. 조사 결과 제조업은 2002년 22.6% 수준이었던 좋은 일자리 비중이 10년 사이 34.8%로 늘었다. 제조업 1인당 보수는 4500만원으로 전(全)산업 평균 3700만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1인당 임금 분포를 봐도 상위소득자 비율이 2002년 21%에서 2012년 31%로 10년 새 10%포인트 올랐다. 저임 생산직 일자리수가 감소하고 상위 임금의 좋은 일자리가 늘어났다는 뜻이다. 이 기간 동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된 것은 모두 57만6000개로 보고서는 생산성 향상 등으로 새로 생긴 일자리 대부분이 좋은 일자리였다고 분석했다. 반면 서비스의 좋은 일자리 비중은 2012년 29.8%로 10년 전인 2002년(27.6%)에 비해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쳤다. 10년 새 좋은 일자리는 137만5000개 늘어 총량으로 따지면 제조업의 2.4배에 달했지만 서비스업 전체 일자리 증가분의 39%에 불과한 수치였다. 서비스업 근로자의 1인당 보수도 3200만원으로 전산업 평균에 못 미쳤다. 상위 소득자 비율도 2002년 27%에서 2012년 29%로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강준구 책임연구원은 "우리 경제의 수출 의존도가 높아지고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서비스업 등 대외충격이 적은 내수시장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늘리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분석을 보면 서비스 시장 확대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며 "서비스업이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은 맞지만 좋은 일자리 비중은 정체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서비스업은 특히 생계형 일자리와 고부가가치형 일자리로 양극화되는 현상이 뚜렷하다"며 "경제 전반의 고용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 함께 기업비용이 늘어나지 않도록 제조기반을 강화하는 산업정책이 수반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제조업 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는 한편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여줄 수 있는 통신, 금융, 사업서비스 등 생산자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