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대기업 이어 중견기업 회동…'증세 없는 복지' 위한 경기진작 '올인'

대기업 중견기업 연이어 만나 '적극적 투자와 일자리 창출' 당부중소기업부터 찾던 취임초와 달라져…경제민주화 속도조절 의지도[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박근혜 대통령은 29일 국민경제자문회의를 개최하고 경제활성화와 일자리창출 방안을 논의했다. 창조경제 활성화와 중산층 복원을 세부 논의 과제로 뽑아 활발한 논의와 제안이 이루어졌다. 박 대통령은 이어 중견기업인 대표단 30여명과 점심을 함께 하며 같은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중견기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사다리를 만들겠다. 중견기업도 창조경제 활성화에 동참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이 같은 행보를 경제활성화에 매진하고 몰두한다는 하반기 정책방향의 출발점이라 해석하고 있다. 실행방법은 기업인과의 대화뿐 아니라 외교적 접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라고 한다. 어제(28일)에 연 이틀간 기업인에게 투자확대와 일자리창출을 당부한 것은 하반기 민생경제 활성화에 모든 것을 걸겠다는 '선언'의 실천 행보란 뜻이다. 이는 세금 논란이 거셌을 때 "국민에게 부담 주지 않고 공약 재원을 마련하겠다"며 증세 제안을 단칼에 거절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증세 없는 복지를 구현하려면 경기가 살아나야 하고 세금이 더 걷혀야 한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데 기업의 도움이 절실하다는 의미다.다른 측면으로 보면 대통령 당선인 시절 전경련보다 중소기업중앙회를 먼저 방문했던 모습과 대비된다. 중소기업들에게 '경제민주화'의 기대감을 심어준 박 대통령은 이어진 대기업 총수와의 상견례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하기까지 국민의 희생과 국가의 지원이 많았다. 이제 변화해주기 바란다"며 긴장감을 조성했다. 하지만 취임 6개월이 지나 박 대통령의 달라진 행보를 두고 일각에선 '사실상 백기투항', '대기업 친화의 본색을 드러낸 것'과 같은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의 정책방향이 흔들릴 여지는 거의 없어 보인다. 박 대통령은 대기업 총수와의 만남 후 중견기업인을 청와대로 초청했고 이는 세간의 비판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중견기업은 정부 정책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대기업과 이해관계가 비슷한 편이다. 제조업체 기준으로 종업원이 300명 이상인 곳으로, 고용안정 등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기업들로 규정돼 있다. 때문에 경제민주화 법안 중 기업 입장에서 '독소조항'인 것에는 대기업과 마찬가지로 반대 입장을 취한다. 이번 대통령과의 오찬에서 중견기업인들은 자신들의 최대 현안인 '규제완화' 요구를 쏟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